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般若心經』 呪文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 對譯音 考察

이용수 22

영문명
A Study on the Transliteration between the Overall Chinese and Korean Incantations Found in Banyasimgyeong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안재철(Ahn, Jae-Cheol)(安在哲) 김은희(Kim, Eun-Hee)(金恩希)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中國學 第75輯, 299~32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本考에서는 『般若心經』 呪文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을 漢語에서 ‘揭帝揭帝 波羅揭帝 波羅僧揭帝/誐諦 誐諦 播囉誐諦 播囉僧誐諦’라고 對譯하고, 韓國 漢字音으로는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로 읽는 것에 대하여 살펴보고 아래의 몇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梵語 ‘gate’를 ‘揭帝’를 써서 對譯한 것은 문제가 없다. 즉 梵語의 ‘g-’는 全濁聲母인 ‘羣母字’를 써서 對譯하였고, 梵語 ‘te-’는 舌尖塞音인 ‘端母字’를 써서 대역하였기 때문이다. (2) 梵語 ‘gate’에서 ‘ga’ 를 羣母字인 ‘揭’나 疑母字인 ‘誐’로 대역할 수 있는 것은 ‘揭’의 中古音 추정음이 유성음 ‘g- 이고, 아음 ‘誐’의 中古音 추정음은 ‘ŋ-’로 ‘g- 와 조음 위치가 같으면서 次濁으로 기식이 적어 상대적으로 유성 무기음을 나타내기에 적절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3) 梵語 ‘gate’를 ‘誐諦’를 써서 對譯한 것에 대하여는 숙고한 결과, 梵語 ‘g-’는 단지 순수한 有聲無氣音이 아니고 鼻音 성분이 내포된 音으로 인식한 것이기 때문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그리고 梵語 ‘t-’는 ‘諦’를 對譯한 것은 ‘帝’와 같이 舌尖塞音인 ‘端母字’를 써서 대역하였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4) 『般若心經』 呪文에서 ‘gate’는 漢語로 ‘揭帝’로 對譯한 글자를 쓰고 있지만, 韓國語로 ‘아제’로 읽는 것은, 梵語의 ‘ga’가 鼻音聲母인 것을 인식하고 漢語에서 ‘誐’로 對譯한 것을 따라 읽은 것이다. (5) 梵語 ‘pāragate’ 중의 ‘pā’를 漢語에서는 幫母字인 ‘波(播)’로 對譯하였다. ‘波(播)’는, 幫母字로서 漢語에서는 無聲無氣音인 /p-/로 읽히고 있으며, 현대의 韓國 漢字音으로는 우리말의 激音化현상에 의해 音이 변화하여 ‘파’로 읽히지만, 『東國正韻』시기에는 脣音 全淸 ‘바’로 주음했고, 『般若心經』의 呪文을 읽을 때도, 『訓民正音』시기의 音을 따라 ‘바’로 읽는다. (6) 梵語 ‘pāragate’에서 ‘-r-’는 에 해당하는 讀音은 漢語에 없으므로, 그것과 유사한 것으로 來母字인 ‘羅’를 써서 對譯하였다. 그러나 音譯本에서는 口邊字인 囉를 만들어 梵語 ‘r-’을 나타내었다. (7) 梵語의 ‘pārasaṃgate’에서 ‘saṃ’은 曾攝字를 써서 對譯하였다. 梵語의 ‘-aṃ’은 漢語의 宕摄(/-ɑŋ/)과 曾摄(/-əŋ/) 그리고 梗摄(/-ɐŋ/) 등으로 나누어 배열하고 있으나, 굳이 曾攝字인 ‘僧’을 써서 對譯한 것은, ‘僧’의 문자학적인 의미에서 찾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았다.

영문 초록

Within the Banyasimgyeong(Prajñā-Paramitā/般若心經)’s zhòuwén(呪文/incantations), the term ‘gate’ uses letters that have been transliterated as ‘jiē dì(揭帝) in Chinese but reading this as ’ahjae’ in Korean meant that it recognized that ‘ga’ in Sanskrit(梵語) was bíyīnshēngmǔ(鼻音聲母/nasal initial sounds) and that it followed the reading sounds that have been transliterated to ‘誐(ah)’ in Chinese. The ‘pā’ amongst the Sanskrit ‘pāragate’ was translated into ‘波(播)(bō)’ which is a Bāngmǔzì(幫母字) in Chinese. The ‘波(播)(bō)’ is read off as /p-/, which is a wúshēngwúqìyīn(無聲無氣音/silent sound) which acts as a bāngmǔzì in Chinese. This is read off as ‘pa’ in Korean for Chinese character sounds due to the changes in the phoneme due to the aspirated phenomenon but during the time of ‘Donggukjeongun(東國正韻)’, it was pronounced as ‘ba’ under the chúnyīnquánqīng(脣音全淸/labial tones) and when reading off the incantations in the Banyasimgyeong, it was pronounced as ‘ba’ following the sounds dictated by the time of the Hunminjeongeum(訓民正音/a.k.a. Hangeul). The pronunciation of ‘-r-’ within the Sanskrit ‘pāragate’ did not exist in Chinese so it was transliterated into a similar sound ‘luó(羅)’ which is a Láimǔzì(來母字/lai initial consonant letter). However, in the book of chinese character transcription, the ‘luó(羅)’ which is a kǒubiānzì(口邊字/verbal letter) was created to indicate the Sanskrit ‘r-’ sound. The ‘saṃ’ in the Sanskrit ‘pārasaṃgate’ was transliterated by using the Céngshèzì(曾攝字). The ‘-aṃ’ in Sanskrit has been arranged in sequence according to the Chinese Dàngshè(宕摄)(/-ɑŋ/), Céngshè(曾摄)(/-əŋ/) and gěngshè(梗摄)(/-ɐŋ/) but the reason why the Sēng(僧) of the Céngshèzì(曾攝字) was chosen for the transliteration amongst other sounds has been deemed to be because of the graphemic meaning that can be found in the character ‘Sēng(僧)’.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재철(Ahn, Jae-Cheol)(安在哲),김은희(Kim, Eun-Hee)(金恩希). (2021).『般若心經』 呪文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 對譯音 考察.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75 , 299-320

MLA

안재철(Ahn, Jae-Cheol)(安在哲),김은희(Kim, Eun-Hee)(金恩希). "『般若心經』 呪文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 對譯音 考察."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75.(2021): 299-3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