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경기북부 경흥로변 취락구조의 변화

이용수 146

영문명
Changes in the structure of local residential areas in Gyeongheung-ro(慶興路), northern Gyeonggi-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북악사학회
저자명
최동원(Choi, Dong-won)
간행물 정보
『북악사론』제14집, 67~9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도성인 한양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있던 대로 중 경기북부와 강원도, 함경도 일대를 가장 빠르게 연결하는 경흥로는 지형적인 특징으로 큰 峻嶺 없이 지방 군현을 연결하며 상호 소통하는 통로였다. 경흥로변의 전통적인 취락 형태는 원삼국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개간이 쉽고 농업활동을 경영하기 편리한 하천과 충적지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이후 하천 범람의 위험을 피하고 군집생활이 가능한 구릉지로 거주지를 이동하였다. 이후 중앙집권적 지배체계가 확립되면서 지방 행정기관과 연결하기 위해 대로와 인접해읍치를 설치하며 취락지가 형성되었다. 경흥로 상의 읍치는 풍수사상이 반영되었으며, 북방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북쪽에 진산 및 主城을 두고 남쪽에 하천을 둔 전형적인 배신임수의 형태를 보이며 군집 거주지가 형성되었다. 경흥로변에도 교통과 통신을 보조하기 위해 역원이 설치되었다. 역원은 관영 시설로 역촌과 원촌으로 구성된 관설 취락을 형성하였지만 재정이 궁핍해지고 전란으로 시설이 파괴되면서 더 이상 복구되지 못하고 폐허로 남게 되었다. 조선후기 상품화폐 경제가 발달하면서 역원이 있던 자리나 도로의 결절점을 중심으로 사설 시설인 점막이 자리하게 되었다. 점막은 이동의 편리를 제공하면서 물류 유통이 확대되자 場市로까지 발전하였다. 경흥로 상에는 양주의 누원점, 포천의 송우점, 장거리점이 촌락을 이루며 형성되었는데, 그중 누원점과 송우점은 도고상업을 주도할 정도로 규모가 확대되었다. 점막은 인구가 증가하면서 상업종사자가 늘어나며 도로를 중심으로 街村을 형성하는 상업취락이 조성되었다. 특히 포천 송우점의 경우 지역 전체 상업종사자 수의 35%가 밀집해 거주하는 대규모 집단 취락을 형성하였다. 이처럼 대로가 기지고 있는 교통의 편리성과 직업군의 변화로 거주지가 이동하면서 전통적인 集村인 읍치가 쇠퇴하게 되고 상업 취락이 지역의 중심지역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Gyeongheung-ro(慶興路) was one of the main roads that stretched out in radial shape from Hanyang, the capital of the Joseon Dynasty, to other parts of the kingdom. It was the fastest road leading to northern Gyeonggi-do, Gangwan-do and Hamgyeong-do. Thanks to the geographical feature having no steep mountains, the road connected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facilitated inter-local communication. Until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when the society was yet to be settled, residential areas alongside Gyeongheung-ro(慶興路) were formed around rivers and alluvial areas which offered land easy to irrigate and farm. Afterwards, people moved to hilly areas to settle down together, away from the risk of flooding rivers. Later, with the centralizing system took root, Eupchi (邑治), provincial cit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established adjacent to main roads to connect the capital and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Eupchi(邑治) built along Gyeongheung-ro(慶興路) embraced feng shui. Each Eupchi(邑治) was located with a guardian mountain and a main mountain at the back in the north to protect against invasion from the north and a river in front in the south, forming communities. YeokWon(驛院), an inn for government officials, was also installed along Gyeongheung-ro(慶興路) to lead traffic and communication. YeokWon (驛院) was a government-run facility and formed a government-owned village consisting of Yeokchon and Yeokho. However, as finances became scarce and the facilities were destroyed during the war, they could no longer be restored and were left in ruin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mmodity money economy in the late Joseon Dynasty, Jeommak (店幕), a private facility for room and board, was built around the site where the YeokWon(驛院) was or the node of the road. Jeommak(店幕) provided convenience of movement and as distribution expanded, it developed to Jangsi which a private market in the Joseon Dynasty. On Gyeongheung-ro(慶興路), like Noowon-jum(樓院店) market in Yangju, Songwoo-jum(松隅店) market in Pocheon, long-distance branch markets were formed into villages, and among them, Noowon-jum(樓院店) and Songwo-jum(松隅店) expanded in size to lead monopoly and oligopoly. As the population increased, the number of commercial workers increased, and commercial settlements were formed along the road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ongwoo-jum(松隅店) in Pocheon, 35% of the total number of commercial workers in the region were densely populated, forming a large-scale group settlement. In this way, the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and the change of occupational groups on the main road led to the decline of the traditional residential village, Eupchi(邑治), and the commercial settlements emerged as the center of the reg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전통적인 취락 형태
Ⅲ. 경흥로변 교통의 발달과 관설 취락의 형성
Ⅳ. 상업 취락의 형성과 거주지의 이동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동원(Choi, Dong-won). (2021).조선후기 경기북부 경흥로변 취락구조의 변화. 북악사론, 14 , 67-97

MLA

최동원(Choi, Dong-won). "조선후기 경기북부 경흥로변 취락구조의 변화." 북악사론, 14.(2021): 67-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