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3・1운동의 평화운동적 의미

이용수 103

영문명
The meaning of 3・1 Movement as a peace movement
발행기관
북악사학회
저자명
장석흥(Chang, Seok-heung)
간행물 정보
『북악사론』제14집, 99~12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3・1운동의 평화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3・1운동에서 내세운 자유와 독립, 정의와 양심, 인도와 평화는 곧 3・1운동의 근본정신이었다. 그리고 자유와 독립, 평등은 곧 평화에 이르는 길이었다.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은 국제주의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민족주의의 기반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는 수준에서 동양평화의 방도를 제시한 것이었다. 전쟁의 억제를 평화의 근본으로 삼았던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은 서양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동아시아의 평화를 기원하는 것이었지만, 그렇다고 동양주의에 머문 것은 아니었다. 전쟁 억제와 제국주의 퇴치를 내세운 동양평화론은 세계평화로 이어지고 있었다. 3・1운동은 민족적 통합을 이뤄냈다는 점에서 혁신적 성격을 지녔다. 천도교・기독교・불교의 종교계 인사들인 3・1운동의 민족대표는 종교 이념만을 초월한 통합이 아니었다. 30여 년 전인 1890년대 만해도 동학농민전쟁과 개화개혁이라는 상반된 이념과 노선에 섰던 인사들이 독립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과거의 이념과 노선을 초월해 민족적 결합을 이뤘다. 3・1운동은 종교 이념만이 아니라 독립운동 노선과 이념까지 초월한 민족 총화의 광장을 이뤘던 것이다. 일본제국주의를 향해 독립을 선포한 3・1운동은 1차적으로 한국 독립을 목표하였지만, 독립선언서에서 밝히듯이 반인류적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인류의 자유와 정의를 수호하는 평화운동이었다. 3・1운동은 세계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서도 크게 기여한 인도주의운동이었다. 당시 인류가 제국주의의 침략에 신음하고 있을 때 3・1운동은 피압박민족해방운동의 선구로서, 약소민족 독립의 길을 열어간 역사의 등불이었다. 3・1운동의 외연은 한국대표단에 의해 파리강화회의로 확장되어 갔다. 파리강화회의는 전쟁 당사국뿐 아니라 약소민족에게도 관심을 집중시켰다. 특히 약소민족들은 미국 대통령 윌슨이 제창한 식민지 민족자결 문제를 독립의 기회로 삼고자 했다. 그러나 승전국 식민지에 대한 민족자결 문제는 파리강화회의의 의제로 상정될 수 없었다. 한국대표단은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할 수 없다는 사실을 명백히 알고 있었지만, 파리에서 활동한 것은 국제사회에 한국 독립 문제를 알리는 기회로 삼고자 했기 때문이다. 제국주의는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의 참화를 불러일으키고, 스스로 폐기되고 말았다. 2차 세계대전 후 제국주의 국가들이 국제적 평화를 지향하는 UN을 설립했던 것은 바로 반인도적 제국주의에 대한 인류의 반성이었다. 그런 점에서 독립운동과 3・1운동은 제국주의와의 전쟁에서 값진 승리를 거둔 평화운동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peaceful nature of 3・1 Movement. Freedom, independence, justice, conscience, humanity and peace were the fundamental spirits of 3・1 Movement. The spirits of freedom, independence, and equality led to the peace. Meanwhile, 3・1 Movement was based on Donghak Peasant s War, enlightnment reform movement, An jung geun s Oriental Peace Theory, Lee hoe young s social equality Theory, Daedong Unity Declaration in 1917, and Jo so ang s Universal Justice Theory. Although 3・1 Movement primarily advocated for Korean independence, it was a universal peace movement that defended human freedom and justice against anti-humanitarian imperialism aggression, as stated i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t the time when mankind was suffering from imperialist aggression, 3・1 Movement was a beacon of human history that paved the road for the independence of minority nations; as a pioneer of the oppressed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The scope of 3・1 Movement was extended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by the Korean delegation. The Paris Peace Conference focused attention not only on the warring parties but also on minority nations. However, the issue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for the victorious colonies could not be put on the agenda of the Paris Peace Conference. Although Korean delegation clearly knew that they could not attend the Paris Peace Conference, they were active in Paris because they wanted to use it as an opportunity to infor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bout the issue of Korean independence. In that sense, 3・1 Movement was a true peace movement that achieved a valuable victory against imperialism.

목차

Ⅰ. 머리말
Ⅱ. 3・1운동의 연원과 ‘평화’의 전승
Ⅲ. 평화의 횃불로서 3・1운동
Ⅳ. 독립선언서의 이념과 평화사상
Ⅴ. 파리강화회의와 3・1운동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석흥(Chang, Seok-heung). (2021).3・1운동의 평화운동적 의미. 북악사론, 14 , 99-122

MLA

장석흥(Chang, Seok-heung). "3・1운동의 평화운동적 의미." 북악사론, 14.(2021): 99-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