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밀양 지역 명승 형성양상

이용수 103

영문명
Formation of Famous Spots in Miryang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Ten Scenes of Miryang and The Twelve Scenes of Geumsidang
발행기관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저자명
김지현(Kim, Chihyoun)
간행물 정보
『한국고지도연구』제13권 제1호, 41~6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조선시대 밀양의 명승에 대한 인식과 형성양상을 살피기 위해 조선시대 문집과 고지도, 그림을 중 심으로 살펴보았다. 밀양의 명승을 읊은 작품으로는 15세기 서거정의 「밀양십경」, 19세기로 추정할 수 있는 「금시 당십이경」 두 작품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이 두 자료를 중심으로 현 밀양팔경의 명승지를 고찰하였다. 서거정 의 「밀양십경」 속에 보이는 우령산, 마암산, 응천, 삽포, 용두산, 율도, 산성산, 나현(날치고개), 삼문동 들, 남포 등 의 장소와 「금시당십이경」에 보이는 산성산, 용두산, 무봉산(아동산), 마암산, 영남루, 밀양읍성 그리고 율도, 삼문동 들은 모두 영남루를 중심으로 펼쳐진 공간 속에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금시당십이경」 속에서 월연 정이 현재 밀양 팔경이 되었음을 살폈다. 지금의 밀양 팔경 중 조선시대에 시제 및 소재가 된 곳은 영남루와 월연 정을 제외하고 거의 전하지 않는다. 이처럼 밀양 명승과 관련한 시문이 적은 것에는 밀양지역 문인들의 문집이 임 진전쟁 이후 18세기 이전까지 간행되지 못했던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이후 개별적으로 밀양 지역의 개인의 정 자를 읊은 작품과 화첩이 있으나, 작품 속 장소가 밀양의 명승으로 밀양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곳으로는 자리 잡지 못하였다. 살펴본 바처럼 밀양의 승경을 읊은 작품은 도리어 많지 않으며, 현 밀양팔경을 만든 것은 조선 시대의 시문이 아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examine the recognition and formation of famous Buddhist temples in Mir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school focused on the literature, maps, and paintings of Joseon Dynasty. Among the works that introduced the famous Buddhist temples of Miryang, only two works were identified: Seo Geo-jeong s The Ten Scenic Views of Miryang in the 15th century and Geumsidang 12th Scene, which can be presumed to be the 19th century. Therefore, these two materials were used to consider the scenic spots of the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Uryeongsan Mountain, Maamsan Mountain, Eungcheon Mountain, Sappo, Yongdusan Mountain, Yuldo Mountain, Nahyeon(nalchi hill), Sammundong-dong, Nampo Mountain, and Mt. Yongdusan Mountain, Mubongsan Mountain(Ai Mountain), Maamsan Mountain, Yeongnam-ru, Miryang-eupseong Fortress, and Yul-dong. In The Twelve Scenes of Geumshidang, it was observed that Wolyeonjeong is now the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Among the current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few of them were mentioned except for Yeongnamnu and Wolyeonjeong. The fact that there are so few poems related to the famous Buddhist temples in Miryang is related to the fact that literary works of writers in Miryang were not published until the 18th century after the Imjin War. Since then, there have been works and albums that recited individual pavilions from Miryang, but the place in the work has not been established as a place loved by Miryang people due to the famous scenery of Miryang. As we have seen, there are not many works that recite the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a poem of the Joseon Dynasty that produced the Eight Scenic Views of Miryang.

목차

1. 머리말
2. 徐居正의 「密陽十境」과 밀양 1경 嶺南樓
3. 「今是堂十二景」과 밀양 4경 月淵亭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현(Kim, Chihyoun). (2021).조선시대 밀양 지역 명승 형성양상. 한국고지도연구, 13 (1), 41-65

MLA

김지현(Kim, Chihyoun). "조선시대 밀양 지역 명승 형성양상." 한국고지도연구, 13.1(2021): 4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