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경준 『산수고』와 『산경표』의 내용비교

이용수 172

영문명
Comparison of the Contents on Sin Gyeongjun’s Sansugo(山水考) and Sangyeongpyo(山經表)
발행기관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저자명
도도로키 히로시(Todoroki, Hiroshi)
간행물 정보
『한국고지도연구』제13권 제1호, 95~11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주목을 받고 있는 『산경표』와 달리, 그 저본 격이면서도 내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는 『산수고』의 산경 관련 부분에 대하여, 제시된 산경 체계와 서술 양식에 착안하여, 그 특성을 『산경표』와 비교하면서 살펴보았다. 『산경표』와 『산수고』는 이를 계승한 『동국문헌비고』 산천조를 포함해 서 산경에 관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은 틀림없다. 『산경표』와 『산수고』는 미시적인 경로 및 경유지명은 거의 일치 하지만, 거시적인 산경의 노선체계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인다. 우선 『산수고』에서는 국토의 산줄기를 12개로 구 분하여 이들을 기준점으로 한 ‘12종산’체계를 채택한 한편, 『산경표』에서는 백두대간과 그 지선이라는 단일체계로 변 경되었다. 또 『산수고』에서는 수도 한양의 삼각산(북한산)을 필두로 삼았는데, 『산경표』에서는 대신 백두산을 으뜸으 로 삼았다. 더구나 대간과 정맥, 기맥과 같은 구분은 양자에 있는데, 『산수고』에서는 각 12 권역마다 읍치까지의 연 결을 우선하는 한편, 『산경표』에서는 정맥의 구간을 더 엄선하면서 국토 분수계로서 수경(물줄기)과의 음양 관계를 더 중요시하여, 한북정맥, 낙남정맥 등 하천을 기준으로 명칭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산경표』가 비단 『산수 고』를 휴대용 도표형식으로 변환했다는 의미 이상으로, 조선 영조대에 지정학적으로 강계 인식이 고양되면서 실학계 에서 공간성 영역성을 강하게 의식한 국토지리인식이 보급되고, 이에 따라 國山으로서의 백두산의 자리매김 및 이에 따른 백두대간 인식의 정착을 반영하고, 또 이를 촉진했다는 의미가 더 클 것으로 가설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Sangyeongpyo” is known to the general public well. In addition, its research has also been relatively intense. However, “Sansugo”, the origin of “Sangyeongpyo”, is not.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Sangyeongpyo”, it is necessary to analyze “Sansugo” too. In addition, comparative studies of both are also needed. They 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hoice of watershed and the choice of land names are almost the same for both books.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as to which major mountain to take first. In addition, “Sansugo” divides the country into 12 major mountains. However, “Sangyeongpyo” was integrated into one “Baekdudaegan” watershed. Such a difference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Sansugo” placed importance on the king and capital, while “Sankyeongpyo” placed importance on the integrity of whole country. At the age of the production of “Sangyeongpyo”, late 17th century, geopolitical tensions arose in East Asia. Therefore, it eems that it was necessary to specify the territory of the country as a system at that period.

목차

1. 들어가며
2. 『산수고』 내용의 체계적 특성
3. 『산수고』 중 각 산줄기의 구체적인 서술방식
4. 『산수고』에서 『산경표』로의 이식과정
5.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도도로키 히로시(Todoroki, Hiroshi). (2021).신경준 『산수고』와 『산경표』의 내용비교. 한국고지도연구, 13 (1), 95-111

MLA

도도로키 히로시(Todoroki, Hiroshi). "신경준 『산수고』와 『산경표』의 내용비교." 한국고지도연구, 13.1(2021): 95-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