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60~70년대 한센인 정착촌의 형성과 ‘자활’의 한계

이용수 144

영문명
The Formation of Hansen Settlements and the Limitations of Self-Sufficiency in the 1960s and 1970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아람(Kim, A-Ram)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94집, 53~8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센인 정착촌이 난민화된 주체를 수용하는 공간이면서도 자활을 요구받는 곳이었고, 그곳에서 한센인의 주체성이 발휘되기 어려웠음을 밝히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한센인 정착촌이 형성된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고, 1960~70년대 정착촌이 정부 정착사업의 일환이었지만, 한센인의 자활과 정착에는 구조적 한계가 있었음을 규명한 것이다. 5·16군정은 자활정착사업의 일환으로 한센인 정착촌을 확대하였다. 한센인 정착사업의 목적은 경제적으로 시설 운영 비용을 줄이고 토지 개간의 효과를 도모하는 것이었다. 한센인은 스스로 자활의 의지를 가져야 한다고 요구받았다. 한센인 정착촌에서는 한센인 조직이 형성되며 정부와 협력하여 정착촌을 관리 통제하였다. 이 조직에 의해 정착촌에서 강제 송환되는 한센인도 있었다. 정착촌에 들어오는 원조물자도 내부 갈등의 계기가 되었는데, 이권을 노리는 자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또한 한센인과 지역민들이 자녀의 공동취학 문제로 대립할 때, 전문가들은 지역민에게 계몽, 한센인에게는 자활 노력을 요구하였다. 1960년대에 정착촌에서 한센인이 자활하기 어려운 조건들은 영세한 토지와 부족한 자금, 사업장 운영과 대표자의 문제점 등이었다. 1970년대에는 축산업이 확대되어 경제적으로 안정된 정착촌도 있었다. 그러나 축산업이 안정되기까지 10여 년 동안 한센인은 중노동을 하고, 경제적 불안정을 버텨야 했다. 한센인이 정착촌에서 겪는 갈등과 충돌, 삶의 영위 과정을 ‘격리와 배제’로만 설명할 수는 없다. 정착촌을 둘러싼 국가권력, 전문가 집단, 한센인 조직, 지역민 등을 통해 정착촌 내부와 외부는 연결되어 있었다. 한센인들의 삶은 정착촌의 중층적인 구조 속에서 제한적이었지만, 또한 그 속에서 한센인은 의지를 발휘할 수밖에 없었다.

영문 초록

The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Hansen s settlement and reveals that it was part of the government s resettlement project in the 1960’s and 1970’s. However it found that there were structural limitations in the Hansen s self-sufficiency and settlement process. The purpose of the Hansen settlement project was to reduce the financial costs of operating facilities and to promote the effect of land reclamation. In Hansen settlements, the Hansen s organization was formed with the settlements being managed and controlled in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There were also Hansen who were forcibly repatriated from the settlement by the organization. id supplies also contributed to internal conflicts. Moreover, when Hansen and local residents were at odds over their children s co-schooling, experts demanded cooperation from the local community and self-help efforts from Hansen. In the 1960’s, conditions making it difficult for the Hansen to survive in settlements were a lack of land, insufficient funds, business operations, and problems with representatives. In the 1970’s, there were also economically stable settlement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livestock industry, which was the result of the Hansen people s continuous efforts and enduring economic instability. The Hansen s conflict and life process cannot be described only through ‘isolation and exclusion.’ The interior and exterior factors of the settlement were connected through national power, expert groups, Hansen organizations, and local people surrounding the settlement. The Hansen s lives was limited in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settlement, but the Hansen also had no choice but to display their will.

목차

1. 머리말
2. 1950년대 집단부락과 격리의 법제화
3. 1960~70년대 정착사업과 정착촌 형성
4. 자활과 정착의 한계
5. 한센인 ‘사회복귀’와 재이주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아람(Kim, A-Ram). (2021).1960~70년대 한센인 정착촌의 형성과 ‘자활’의 한계. 동방학지, 194 , 53-87

MLA

김아람(Kim, A-Ram). "1960~70년대 한센인 정착촌의 형성과 ‘자활’의 한계." 동방학지, 194.(2021): 53-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