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 이후 북한의 군중문화사업 연구(1945~1950)

이용수 61

영문명
A Study of North Korean Mass Culture Project, 1945-1950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박창희(Pak, Chang Hee)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94집, 281~31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8· 5 해방 이후 북한의 문화 관련 이론과 정책, 사업을 통해 북한 문화의 원형이 형성되는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북한의 문화 형성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북한에서 추진된 문화건설에는 정권, 예술가, 대중(노동자·농민)이 참여하였다. 정권은 문화시설 건설을 통해 군중문화의 기반을 조성하였으며, 직업적인 예술인들은 노동자·농민을 중시하는 문화이론을 정립하고 작품을 창작함으로써 군중문화의 문학예술적 기반를 구축하였다. 이와 같은 군중문화의 두 기반은 대중들이 군중문화써클을 통해 문화예술활동의 주체로 나설 수 있게 만들어 주었다. 둘째, 북한에서 추진된 문화건설의 원칙은 노동자·농민을 중시하는 것이었다. 문화이론인 ‘민주주의민족문화’론은 해방 조선의 신문화가 노동자·농민계급의 주도 아래 건설되어야 한다는 점을 이론적으로 해명한 것이었다. ‘민주주의민족문화’론의 사상적 배경은 마르크스·레닌주의라고 할 수 있으나, 궁극적인 목표는 노동자·농민대중에 의한 민족문화의 건설이었다. 때문에 문화건설의 중점은 군중문화정책과 군중문화사업에 두어졌다. 정책은 노동자·농민대중과 문화예술 사이의 경계를 허물고 간극을 좁힐 수 있는 방안으로 채워졌으며, 이에 기반한 사업은 민주선전실의 군중문화거점화, 전문적인 문학예술의 대중화, 대중들의 문화예술활동이라는 방향에서 추진되었다. 그 결과 북한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던 노동자·농민대중은 이전과는 다른 문화예술활동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역사적으로 남한과는 결이 다른 북한의 ‘군중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forming the prototype of North Korean culture through North Korean culture-related theories, policies, and projects after libera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rototype of North Korean culture, the following facts were confirmed. First, the government, artists, and the public (workers and farmers) participated in the cultural construction promoted in North Korea. Second, the principle of cultural construction promoted in North Korea was to value workers and farmers. Third, cultural policies were filled with way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working class and the peasant masses and the culture and arts. The main contents of the plan were the establishment of a people s culture hub, the popularization of professional literature and art, and the self-reliant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masses. As a result, workers and farmers, who accounted for an absolute majority of the North Korean population, were able to engage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meaning that the ‘people s culture’ of North Korea,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South Korea, began to form.

목차

1. 머리말
2. ‘민주주의민족문화’론과 군중문화정책의 수립
3. 군중문화사업의 전개
4. 맺음말 : 군중문화사업의 의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창희(Pak, Chang Hee). (2021).해방 이후 북한의 군중문화사업 연구(1945~1950). 동방학지, 194 , 281-310

MLA

박창희(Pak, Chang Hee). "해방 이후 북한의 군중문화사업 연구(1945~1950)." 동방학지, 194.(2021): 281-3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