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쟁, 소유, 박탈

이용수 329

영문명
The Korean War, Possession, and Dispossession: On the site of Loss and Destruction of Homes in Wartime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예림(Kim Yerim)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94집,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한국전쟁기 피난민 및 전재민의 난민됨의 상황을 ‘집의 상실과 파괴라는 측면에서 고찰한다. 기존 연구는 피난민이나 전재민 문제를 정치적 맥락에서 다루어 왔으나 전쟁이 극히 사회경제적 사태이기도 했다는 점을 환기할 필요가 있다. 사회경제적 사건으로서의 전쟁과 관련해서 주목해야 할 점은 그것이 기존의 소유(권) 질서를 광범위하고도 급격하게 동요시킨다는 것이다. 이는 주로 소유(권)의 상실, 모호, 몰수 등의 방식으로 일어났다. 이 글은 피난민과 전재민의 상황을 ‘박탈’로 파악하고 특히 ‘집’의 상실과 파괴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폭격과 점령 그리고 수복이라는 일련의 전쟁 과정은 대규모의 집-상실자를 낳았다. 전쟁 빈곤 사회의 비참은 국가에 의해 발견되었고, 연동하여 생명관리 통치가 작동했다. 수용 공간 제공이라는 피난민·전재민 보호 정책이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당시 법적 근거 없이 폭력적으로 진행된 “역산” 불법 취득도 금지했다. 부역자의 재산을 의미하는 “역산”은 군경 세력의 재산 약탈을 증명하는 역사적 용어로 특히 “역산가옥” 탈취는 치안권력의 몰법적인 재산 약탈 상황을 압축하고 있다. 그러나 전시 국가의 생명관리 정책과 행정의 한계는 분명했다. 피난민과 전재민의 고통을 분담하는 일은 ‘사회 공동체’로 넘어왔지만 부동산 소유자의 사적 이해 관철은 공적 요구에 냉담했던 것으로 보인다. 주거-거주의 장소를 잃어버린 빈한한 존재들의 삶의 곤경은 해결되기 어려웠다. 이들은 피난과 전재로 여기 저기 떠돌아야 했지만 사실은 국가와 사회 사이에서 난민이 되었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light and process of evacuees and war victims becoming refugees in the aspect of the loss and destruction of homes during the Korean War. The majority of pre-existing research have studied the Korean War from a political context.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war itself was a socio-economic event. The kernel of the war as a socio-economic event is that it agitated the existing order of ownership or possession, mainly in the form of its ambiguation, confiscation or forfeiture. This paper understands the core process of becoming refugees as dispossession, especially through the loss and destruction of the home. The bombing, occupation and recapture brought about a large number of people who were divested of residence. Poverty and wretched plight in wartime society was discovered by the state and governance of bio-politics were imposed: to make places to accommodate refugees as part of the War Refugee Relief Policies and to forbid the illegal and violent occupation of ‘yeoksan’ or the property of collaborators. Extortion of ‘yeoksangaok’ or the house of collaborator was mainly perpetrated by the military and the police, which showcased their unlawful pillage of civilians possessions. There were limits and restrictions on the relief policy and administration of the state at war which implemented and permitted violence. Social communities were required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bearing the burden of refugees, but the owners of real property seeking private interests were not so cooperative. Those who lost their residences could not resolve the troubles of life. They wandered from place to place and became refugees between the state and society.

목차

1. 전시 생명정치의 장과 난민됨
2. 소유와 박탈 그리고 전쟁 빈곤 사회
3. 수용소 혹은 가옥을 둘러싼 정책과 그 한계
4. 사회의 파상(破狀)과 ‘작은 사회적 공공성’에 대한 상상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예림(Kim Yerim). (2021).전쟁, 소유, 박탈. 동방학지, 194 , 1-26

MLA

김예림(Kim Yerim). "전쟁, 소유, 박탈." 동방학지, 194.(2021):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