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VID-19 대유행이 청년세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03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Young People’s Mental Health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저자명
김미숙(Kim, Mee Sook) 강선경(Kang, Sun Kyung)
간행물 정보
『생명연구』제60집, 133~15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COVID-19 팬데믹 상황이 한국의 20~30대 청년세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총 762부의 자료에 대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관적 신체건강이 좋으면 주관적 정신건강이 좋을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음주빈도가 월 2~4회 수준이면 주관적 정신건강이 좋을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가족의 경제적 수준이 높으면 주관적 정신건강이 좋을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COVID-19 이후 경험된 청년세대의 일상생활 변화와 관련해서는, 가족과의 시간이 증가하면 주관적 정신건강이 좋을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고, 고독감이 있거나 미래에 대한 불안이 증가하면 주관적 정신건강이 나쁠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COVID-19 이후 20~30대 청년세대의 일상생활은 혼자만의 시간 증가보다는 가족과의 시간 증가가 주관적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COVID-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보다는 가족의 경제적 수준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건강 불안보다는 미래불안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고립감보다는 고독감이 주관적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기술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which hit the world in 2020, on the mental health of young people. To this e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a total of 762 copies of data using the IBM SPSS 21.0 progra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Subjective physical health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The frequency of drinking 2-4 times a month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Study subjects’ family economic leve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With respect to the changes in daily life experienced since COVID-19, an increase in family tim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an increase in loneliness and future-related anxie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increased time with family, rather than an increase in alone time, had more impa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and future-related anxiety, rather than health-related anxiety, had more impa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Additionally, personal loneliness, rather than social isolation, had more impact on subjective mental healt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ere described,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y we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숙(Kim, Mee Sook),강선경(Kang, Sun Kyung). (2021).COVID-19 대유행이 청년세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생명연구, 60 , 133-153

MLA

김미숙(Kim, Mee Sook),강선경(Kang, Sun Kyung). "COVID-19 대유행이 청년세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생명연구, 60.(2021): 133-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