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스트휴머니즘의 기회와 위기

이용수 949

영문명
Opportunity and Crisis of Posthumanism: towards the conception of a ecological opposition discourse in epoch of posthuman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저자명
심현주(Shim, Hyunju)
간행물 정보
『생명연구』제60집, 185~20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시대의 대항담론을 ‘생태적 총체성’관점에서 구상한다. 이 구상은 무엇보다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이 제안하는 ‘하이브리드 정체성’개념과 ‘하나의 전체 생명’개념에 근거한다. 전자는 생물학적 결정주의에 기초한 정체성 정치를, 후자는 생물학적-개인주의적 생명 이데올로기를 넘어선다. 이 개념들은 생명윤리와 생태윤리를 연결하며, 근대의 ‘경계 짓기’ 정치를 벗어나려는 시도다. 포스트휴먼은 인간-동물-비생명-기계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주체다. 또한 ‘나’와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존재들을 동등한 관계로 수용하지 않고서는, 자신의 삶을 존재론적으로 영위할 수 없음을 아는 존재다. 이런 존재에 대한 전망은 향상된 포스트휴먼시대를 위한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21세기 최첨단 과학기술을 인간의 존재론적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문명의 전환에 대한 기회다포스트휴먼이 그 시대의 위기에 대항하는 방법은 무엇보다 초국적 생명자본 권력을 반대하는 것이다. 이 실천은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투쟁이며 동시에 영성적 투쟁이다. ‘나’의 완전함을 추구하는 대신, 모든 종들을, 그리고 생명체와 비생명체를 가로지르는 ‘하나의 전체생명’을 지속시키기 위해 유한한 것들이 서로 치유하기를 희망하는 영성이다. 인류세가 빚어낸 인류의 멸종위기를 막기 위한 대항담론의 핵심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nceives an opposition discourse from the viewpoint of an ecological holism . This conception is above all based on the notion of Hybrid identity and one whole life that is proposed by the critical posthumanism. The former overcomes identity politics based on the biological determinism, while the latter overcomes the limit of the ideology related to the biological-individualistic life. These concepts connect ecological ethics with bioethics, and tries to get over the bounder-making politics and ideology in the modern. Posthuman is the subject that crosses the boundaries between the human-animals- non-life -machine. Also, this subject realizes that each of us can t sustain life in the ontological sense, unless ‘I accept the other existence on an equal footing, that are inextricably tied up with me. The vision of this human must be an important chance for an enhanced posthuman epoch. This is a chance for the transition of civilization. The way posthuman fights the crises of his time is most of all refuse the transnational bio-capital power. This action is the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struggle, at the same time the spiritual struggle. This spirituality is a hope that all of the finite beings cure each other for holding one whole life, instead seeking my own completeness. The new common sense in epoch of the posthuman is equality of all beings included non-bio beings. This is a core of the opposition discours what prevents the extinction of human race accrued during the anthropocene.

목차

Ⅰ. 서론
Ⅱ.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전망
Ⅲ. 포스트휴머니즘의 위기와 기회에 대한 윤리적 관점
Ⅳ. 포스트휴먼 시대의 대항담론: 생태적 생명의 평등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현주(Shim, Hyunju). (2021).포스트휴머니즘의 기회와 위기. 생명연구, 60 , 185-207

MLA

심현주(Shim, Hyunju). "포스트휴머니즘의 기회와 위기." 생명연구, 60.(2021): 185-2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