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고용평등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거버넌스

이용수 2

영문명
Women’s Equal Employment and the US Supreme Court Governance:Case Studies of EEO Legislation and the Supreme Court Decisions
발행기관
한국세계지역학회
저자명
곽진영(Kwak, Jin-young)
간행물 정보
『세계지역연구논총』제25집 제1호, 241~26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고용평등의 실현이라는 사회적 변화의 과정을 고용평등법의 제정 과정과 실제 분쟁 사례에 대한 미 연방대법원의 조정자, 촉진자적 기능을 중심으로 탐색해 보았다. 여성고용평등 문제는 고용으로부터, 승진, 해고, 차별임금, 부당 대우, 연금, 보험, 탁아, 임신, 그리고 최근의 성 희롱에 이르기까지 매우 넓은 범주에 해당되며 기업의 이해와 피고용자의 권리라는 첨예한 이해가 대립되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정책의 현실화가 갈등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는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그 불확실성과 위험부담으로 인해 당장의 적극적인 응대나 강제적 조치를 수행하게 될 동인이 적은 의회보다는 정치적 중립 기구인 연방대법원의 중재 기능이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1964년의 민권법 제정 과정은 그 이전에 연방대법원에 제소된 많은 고용관련 소송과 판결을 통해 고용상의 차별을 시정하기 위한 법률적 근거의 필요성이 강화되고 고용기회를 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법적 거버넌스 과정을 보여 준다. 연방대법원은 법의 제정 단계에서는 연방정부의 개입 범주를 설정해 줌으로써, 그리고 법 제정 이후에는 그것이 구체적으로 현실 속에 실현되도록 하는 적용의 기준을 판결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중립적 기관으로서 여성고용평등의 실현을 위한 중요한 촉진자적 기능을 수행해 왔다. 이러한 사례 연구 결과는 연방대법원이 갈등 사안에 대한 중재적 기관으로서 헌법에 근거한 판결을 통해 사회적 변화의 준거 틀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변화를 촉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upreme Court‘s role as a governance institution for resolution of the conflictual issue as women’s equal employment. The women’s equal employment issue shows a good example of conflictual process characterized as expansive definition of the issue, low compatibility with existing policies, disputing legitimacy and substantial cost of policy, and high public visibility. As it brings high risk and high level of uncertainty, such conflictual issues cannot be resolved by representative body of government as Congress. The case study of EEO legislation and the Supreme Court decision regarding women’s equal employment showed that the Supreme Court, as a neutral body of decision-making institu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resolution of those conflicts in the process of social change toward the accomplishment of sex-based equality of employment. Various Opinions of the Supreme Court, framed by legal legitimacy based on the Constitution, offered guidelines for internalization of new law as EEO, and strengthened efficiency of policy implement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urt as a neutral governance actor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nflict resolutions which could initiate a “silent revolution” of social change.

목차

Ⅰ. 서론
Ⅱ. 거버넌스 기제로서의 연방대법원
Ⅲ. 미국의 여성고용평등과 연방대법원: 사례 연구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진영(Kwak, Jin-young). (2007).여성고용평등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거버넌스. 세계지역연구논총, 25 (1), 241-269

MLA

곽진영(Kwak, Jin-young). "여성고용평등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거버넌스." 세계지역연구논총, 25.1(2007): 241-2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