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군정기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지방자치조직법안 논의과정과 성격

이용수 178

영문명
The Discussion Process and Character of the Local Government Act of the South Korean Interim Legal Assembly during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Period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손연하(SON Youn-ha)(孫煙霞)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95집, 321~35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방자치는 민주주의의 필수적 구성요소로서 독자적인 가치를 가진다. 지방은 정치적 참여가 용이한 소규모 정치 단위로 지방 단위에서 진정한 시민들의 정치참여가 실현될 수 있다.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서는 행정권 이양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국가 헌정을 구상하는 기본법으로 지방자치조직법을 제정하고자 하였다. 입법의원에서는 내무경찰위원회와 법제사법위원회가 지방자치제도의 도입을 둘러싸고 각축하였다. 내무경찰위원회는 민의를 반영한 통일 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방자치제를 고안하였다. 국민주권이라는 민주주의 원리 속에서 지방자치를 이해하고 국민의 의사를 반영시키는 방법으로 지방자치제를 제시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반면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방의 공공문제를 자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권한과 지역의 행정을 담당할 수 있는 처리 능력을 중시하며 법률적 의미의 지방자치를 시행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방자치의 필요를 주창하기보다 법안을 심사하기 위한 과정에서 지방자치제도를 접한 경우로, 기존 지방제도안에서 지방자치의 형태를 찾고, 그 범위 내에서 지방자치를 규정하고자 하여 일제강점기 지방제도의 내용을 상당 부분 차용하고 있었다. 주민자치와 단체자치는 서로 대립하는 개념이 아니라 자치의 두 측면으로 상호보완적인 관계에서 발전해야 한다. 그러나 해방 정국에서 두 위원회는 자치의 근본이념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였다. 이는 일제 강점을 거치며 왜곡되어온 한국 지방자치의 역사적 특성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다. 지방자치에 대한 논의는 좌우 대립과 남한만의 단독선거라는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채입법의원에서 다수를 점하고 있던 우익세력의 영향으로 법제사법위원회 안을 토대로 정리되었다. 입법의원에서의 논의는 이후 제헌헌법에서 지방자치를 정의하는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Local autonomy has its own value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democracy. Local governments are small political units that are easy to engage in politics, and real citizens’ participation in politics can be realized in the provinces. The principle of handling the affairs of one’s own region is a demand based on the most basic principles of democracy, and local autonomy is the best realistic political system that can realize popular sovereignty. The South Korean Interim Legal Assembly intended to establish the Local Government Act as the fundamental law that envisions the constitutional government in preparing for the transfer of administrative power. The situation in 1945 was a time when all possibilities of government form, power, and state system were open in the newly established political system of government. At the South Korean Interim Legal Assembly, the Home Affair and Police Committee and the Legal and Jurisdiction Committee contested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The Home Affair and Police Committee devised the local autonomy system as a way to establish the unified government that reflects the will of the people. It argued that the government-established route, which was focused on cooperation of political power, should be turned into a popular movement and decided to rule ‘by a majority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of democracy, based on local autonomy’. The existing government-established route was to determine the nation’s system through consensus of political power and the public followed it, but the public emerged as the main body of political system decisions through the Local Autonomy Act. This can be understood as a way to understand local autonomy in the democratic principle of popular sovereignty and to suggest local autonomy as a way to reflect the will of the people. On the other hand, Legislation and Judicial Committee emphasized the authority to handle local public affairs independently and the ability to handle local administration and insisted on implementing local autonomy in the legal sense. Legislation and Judicial Committee encountered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bill, sought form of local autonomy within the existing local system, and tried to define local autonomy within its scope. Discussions on local autonomy were organized based on the Legislation and Judiciary Committee’s proposal under the influence of right-wing forces, which had a majority in the South Korean Interim Legal Assembly without sufficient discussion amid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confronta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and the separated election in South Korea. Although the Local Government Act was not passed as a bill, the basic framework of local autonomy agreed at that tim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actment of the Constitution.

목차

1. 머리말
2. 내무경찰위원회의 지방자치조직법안 초안
3. 법제사법위원회의 지방자치조직법 안 심사안
4. 약헌 지방제도 논의와 연석회의 수정안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연하(SON Youn-ha)(孫煙霞). (2020).미군정기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지방자치조직법안 논의과정과 성격. 한국근현대사연구, 95 , 321-353

MLA

손연하(SON Youn-ha)(孫煙霞). "미군정기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지방자치조직법안 논의과정과 성격." 한국근현대사연구, 95.(2020): 321-3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