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성격유형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35

영문명
Influence of Personality Types on Job Performance in Care Worker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 the mediation effects of job satisfaction
발행기관
한국복지실천학회
저자명
전유림(Jun, Yu Rim)
간행물 정보
『한국복지실천학회지』제12권 제1호, 105~13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성격유형을 파악하여 요양보호사가 직면하는 직무만족관련 일 만족 요인, 심리적 만족 요인이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직무만족이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분석하는데 있다. 서울시 및 경기도, 인천시 지역에 입소시설인 노인요양시설에 종사중인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최종 35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그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유형의 외향성 요인(β=.16, p<.05), 친화성 요인(β=.21, p<.01), 정서적안정성 요인(β=-.23, p<.001)은 종속변수인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격유형 하위요인 중에서 외향성, 친화성 성격요인이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게 되어, 정서적인 안정성 성격요인이 직무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외향성 및 친화성의 성격요인이 강화될수록, 정서적안정성 성격요인이 완화될수록 직무성과 또한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성격유형의 외향성 요인(β=.17, p<.01), 친화성 요인(β=.18, p<.01)은 종속변수인 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외향성 및 친화성 성격요인이 일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외향성 및 친화성의 성격요인이 강화될수록 일 만족은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성격유형의 성실성 요인(β=-.13, p<.05), 정서적안정성 요인(β=-.45, p<.001)은 종속변수인 심리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성격유형 하위요인 중에서 성실성 및 정서적안정성 성격요인이 심리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성실성 및 정서적안정성의 성격요인이 완화될수록, 심리 만족은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성격유형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일 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1단계, 2단계, 3단계 검증에서 성격5요인은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3단계에서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인 친화성(β=.13, p<.05), 정서적안정성 요인(β=-.20, p<.001)이, 매개변인인 일 만족(β=.44, p<.001)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립변인 성격유형 중 친화성 요인이 강화될수록, 정서적안정성 요인이 약화될수록 매개변인인 일 만족 요인을 강화시키게 되며, 이는 최종에는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직무성과는 상승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성격유형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심리 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1단계, 2단계, 3단계 검증에서 성격5요인은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3단계에서 성격유형의 외향성(β=.15, p<.05), 친화성(β=.19, p<.01), 정서적안정성 요인(β=-.12, p<.05)이, 매개변인인 심리 만족(β=.23, p<.001)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립변인 성격유형 중 외향성 및 친화성 성격요인이 강화될수록, 정서적안정성 성격요인이 약화될수록 매개변인인 심리 만족 요인을 강화시키게 되며, 이는 최종에는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직무성과는 상승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요양보호사의 성격유형 중에서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정서적안정성 성격요인이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가 사회복지 분야에서 선행연구는 전무하였으나, 본 연구를 통하여 개인별 성격유형의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정서적안정성 성격요인이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일 만족, 심리 만족 요인이 개인별 성격유형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하여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이 검증됨으로서 성격유형과 직무만족이 새로운 연구로서의 가치를 부여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sonality types of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an effort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 work satisfaction factor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of a psychological satisfaction factor on job performance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job satisfaction in that proces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are workers who work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the city of Seoul, Gyeonggi Province and the city of Incheon, and the data from 351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Hypothesis 1, the extraversion factor(β=.16, p<.05), the agreeableness factor(β=.21, p<.01) and the emotional stability factor(β=-.23, p<.001) of the personality types exercised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that was the dependent variable.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job performance becomes better when the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personality factors of care workers are strengthened and when the emotional stability personality factor is weakened, becaus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types, the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factors affected job performance positively and because the emotional stability factor affected it in a negative way. Thus, Hypothesis 1 was accepted as the personality types impacted on job performance. Second, the extraversion factor(β=.17, p<.01) and the agreeableness factor(β =.18, p<.01) of the personality types exercised influence on work satisfaction that w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factors affected work satisfaction in a positive manner.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work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becomes higher when their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personality types are elevated. Thus, Hypothesis 2 was accepted because the personality types affected work satisfaction. Third, the conscientiousness factor( =-.13, p<.β 05) and the emotional stability factor(β=-.45, p<.001) of the personality types exerted influence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at was the dependent variable. A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types. the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stability personality factors had a negative impact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it could be said that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becomes higher when their conscientiousness and emotional stability personality factors are weakened. Thus, Hypothesis 2-2 was accepted because the personality types affected psychological satisfaction. Fourth, a three-stag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mediation effects of work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sonality types and job performance, and the five personality factors produc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1st, 2nd and 3rd stages of testing. In the 3rd stage, the agreeableness factor(β=.13, p<.05) and the emotional stability factor(β=-.20, p<.001) among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types and work satisfaction(β=.44, p<.001) that was the mediation variabl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job performance. Accordingly, it could be said that the work satisfaction factor which is the mediation variable is more reinforced when the agreeableness factor is more strengthened among the personality types that are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when the emotional stability factor is more weakened, and it ultimately could be said that job performance perceived by care workers themselves becomes better. Thus, Hypothesis 3-1 was accepted because work satisfaction played a partial mediation ro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sonality types and job performance. Fifth, another three-stag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mediation effects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sonality types and job performa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결과의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유림(Jun, Yu Rim). (2020).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성격유형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12 (1), 105-134

MLA

전유림(Jun, Yu Rim).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성격유형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실천학회지, 12.1(2020): 105-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