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順序配列補充法의 實驗的 檢討

이용수 197

영문명
A Practical Examination of Complementary Seriation Method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안재호(Ahn, Jae Ho)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9호, 5~3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1.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순서배열법은 문화사고고학을 연구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지만, 순서배열보충법은 사회고고학의 도구로써 유적 내모든 유구의 동시성과 시간성을 밝히기 위한 발생순서배열법의 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결실자료를 보충하여 그 결실자료가 최소가 되는 배열을 조작하여 양식편년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방법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5개의 예시로써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서배열된 각 유구의 배열은 실제의 시간 순서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래서 순서배열되었다고 그것을 바로 편년으로 인식하면 안 된다.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은 형식의 출현 양상을 통하여 획기를 설정하여, 다수의 유구를하나의 획기로 묶었을 때 그 획기의 순서만이 역사적인 시간의 순서와 거의 일치한다. 둘째, 올바른 시간성을 가진 획기의 수를 늘리려면 3기 이상의 유구에서 출토되는 형식의 수를 늘려야 한다. 그러기위해서는 유물에서 유효한 시간적 속성을 찾아 분류하여야 한다. 그리고 형식은 그 존속기간이 짧을수록 좋은 결과를보이고, 존속기간이 긴 형식은 순서배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영문 초록

Contrary to seriation often used as a method for cultural-historical archaeology, complementary seriation is a branch of occurrence seriation and used to examine the simultaneity and temporality of the artifacts found in the same archaeological site. The benefit of this method in chronologizing styles is based on its usefulness in providing a possible series of artifacts with minimum missing data by properly complementing the miss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which were done with five sample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is method, First, it is noteworthy that a set of serialized artifacts is not necessarily reflective of the real temporal order, which means that the result of seriation cannot be taken directly for a chronology. One useful method to cope with this problem is to define several periods to which each artifact can be assigned and then examine the temporal order among these periods. The experiments corroborate that the order drawn from these periods reflects the real historical order. Second,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periods well-defined and reflective of the correct temporal order,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styles each of which was discovered from more than three different remains. For this, valid temporal features of the artifacts should be extracted to properly classify them. The styles that were produced during only shorter terms could result in better results whereas those with longer terms are less useful since they cannot have meaningful influences in seri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順序配列補充法의 理解와 實驗
Ⅲ.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재호(Ahn, Jae Ho). (2021).順序配列補充法의 實驗的 檢討. 영남고고학, (89), 5-34

MLA

안재호(Ahn, Jae Ho). "順序配列補充法의 實驗的 檢討." 영남고고학, .89(2021): 5-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