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양산지역 고분 연구

이용수 511

영문명
A Study on Ancient Tombs in the Yangsan Area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권용대(Gwon, Yong Dae)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9호, 87~11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1.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양산지역 고분은 기원후 2C~7C대까지 목관묘를 시작으로 이후 목곽묘, 석곽묘, 석실묘 등이 순차적으로 출현한다. 새로운 묘제의 등장과 함께 나타나는 특징적 평면형태에 따라 크게 4단계의 변화를 보인다. 1단계는 규모가 큰 세장방형 목곽묘에 다량의 금속유물이 부장되며, 고분의 위계화 양상이 나타난다. 세장방형 목곽묘는 동해남부지역 유력 지배집단의 묘제로 울산·경주지역과 상호관계를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2단계 출현기 석곽묘는 평면형태가 방형에 가깝고, 바닥에 통형 목구조물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평면형태 및 내부구조물 등은 낙동강하류역의 고분요소를 반영하였다. 이 단계에는 김해·부산지역과 높은 상호관계를 엿볼 수 있다. 3단계는 평면형태 장방형에 고시상이 특징인 양산식 횡구식석실묘를 축조하였다. 부부총에는 관모를 비롯한 각종귀금속과 함께 순장자도 안치되었다. 신라의 위신재가 부장되지만 양산지역의 특징적인 묘제를 고수하였다. 신라의 영향력 아래에서 토착세력의 성장을 엿볼 수 있다. 이 단계 양산지역에 대규모 철기 생산시스템이 갖추어지고 고분의 위계화도 완성된다. 4단계는 방형 석실묘가 축조되며, 유물의 부장량이 점차 감소한다. 고분의 구조뿐만 아니라 출토유물이 모두 신라양식이다. 따라서 신라의 영역에 통합되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전 단계의 철기 생산은 이후에도 계속 이어지며, 고총에 안치된 지배집단의 성장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ncient tombs had been built in Yangsan area during the period of 2nd to 7th century AD in the sequential order of wooden chamber, stone chamber and stone room tombs. There were changes in four stag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 planar forms accompanying the emergence of new tomb styles. In the first stage, a large amount of metal relics were buried in the large narrow rectangular wooden chamber tombs, and the hierarchical pattern of the tombs began to appear. The narrow rectangular tombs represented the tomb style of influential political groups in the Southern province. In the second stage, the stone chamber tombs in the emergence period was close to a square shape, and a log-type wooden structure was installed on the floor. This planar form and internal structure reflected elements of ancient tombs in the downstream basin of the Nakdong river. In the third stage, Yangsan-style stone room tombs with a horizontal entrance were built. These tombs had the rectangular planar form and the high-level dead stand. Bubuchong contained even living people buried with various precious metal relics including crown cap. The regional tomb style of Yangsan was used even though the relics that symbolize status in Silla was buried in tombs. At this stage, the Yangsan area established a large-scale ironware production system and completed the hierarchy of ancient tombs. In the fourth stage, the square stone room tombs were built, and the amount of relics was gradually decreased. Both the tomb structures and artifacts excavated in them are in the Silla style, which indicates that the Yangsan area was incorporated into the territory of Silla.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분 분포 현황 및 묘제 분석
Ⅲ. 고분의 편년과 단계별 변화
Ⅳ. 양산지역 고분의 성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용대(Gwon, Yong Dae). (2021).양산지역 고분 연구. 영남고고학, (89), 87-117

MLA

권용대(Gwon, Yong Dae). "양산지역 고분 연구." 영남고고학, .89(2021): 87-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