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三國~統一新羅時代 刻銘技術의 特徵과 變遷

이용수 263

영문명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inscription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김도영(Kim, Do Young)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9호, 183~222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1.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삼국~통일신라시대 금(청)동제품의 각명기술을 분석하여 그 특징과 변천을 밝히고 그 배경을 국내 정세, 대외교류라는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5세기 신라에서 확인되는 금(청)동제품의 합인조긁기는 문자의 획을 선으로 표현하는 단순한 수준에 머무른다. 각명기술이 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고구려의 영향을 상정할 수 있다. 이후 6세기 중엽이 되면 고구려와 백제를 중심으로 모조끌로 새긴 문자가 등장한다. 획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어 전 단계에 비해 문자를 표현하는 데 유리한 모조는 중국 산둥지역을 중심으로 한 北朝의 금동소불의 제작기술이 이입되면서 한반도에 등장하였다. 백제에 이입된 모조는 큰시차 없이 일본열도까지 전해진다. 삼국통일 직후에는 다양한 각명기술이 동시에 등장한다. 이러한 양상을 당시 국내 정세와 결부시키는 데는 주의가필요하다. 다만 신라에 등장한 모조와 관련해서 만큼은 백제로부터 강한 영향이 상정된다. 이후 획의 윤곽을 새겨 문자의 형태를 가장 충실하게 재현한 점에서 工人의 의도가 가장 잘 반영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 쌍구체법은 금속공예품으로 보아 唐과 신라의 인적·물적 교류 속에서 도입되었다. 이처럼 삼국~통일신라시대 각명기술은 시대가 지나면서 문자의 원래 형태를 최대한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간다. 그 변화와 발전의 배경에는 항상 중국과 북방지역의 영향을 상정할 수 있다. 고고자료에서 확인된 문자는 주로 역사학의 연구대상으로 간주되지만 각명기술과 같은 주제는 역사시대를 전공하는 고고학자에게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연구대상이라는 점에서 항상 관심을 두고 지켜보아야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inscription technique of the craftwork made in the Three Kingdoms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was analyzed to reveal its characteristics and changes. And the background was interpreted from the viewpoint of domestic situation and foreign exchange. The inscription technique found in Silla in the 5th century is a simple level of expressing the stroke of a character with lines. The influence of Goguryeo can be assumed in the background.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engravings appeared around Goguryeo and Baekje. Engraving appeared on the Korean Peninsula as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Buddha statues from Northern Dynasties in China. Afterwards, the technique of carving out the outline of strokes became popular in the 9th century. This technology was introduced during the exchange between Tang Dynasty and Unified Silla. In this way, the inscription technique of the Three Kingdoms Era and the Unified Silla Era expresses the original form of the text as realistically as possible. China s influence can always be assumed on the background of its change and development. Characters identified in archaeological data are mainly considered subject to study in history. However, inscription technique is an excellent research subject for archaeologists majoring in the era of history and should always be interested.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사 및 문제 제기
Ⅲ. 각명기술의 자세와 종류
Ⅳ. 삼국~통일신라시대의 각명기술
Ⅴ. 획기와 의미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영(Kim, Do Young). (2021).三國~統一新羅時代 刻銘技術의 特徵과 變遷. 영남고고학, (89), 183-222

MLA

김도영(Kim, Do Young). "三國~統一新羅時代 刻銘技術의 特徵과 變遷." 영남고고학, .89(2021): 183-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