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시대 敎藏의 송・요 불교계 交流와 전승

이용수 292

영문명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 of Goryeo-gyojang in Song(宋) and Liao(遼) during the Goryeo Dynasty
발행기관
북악사학회
저자명
박용진(Park, Yong-jin)
간행물 정보
『북악사론』제13집, 155~18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1.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高麗 敎藏 결집 및 DB구축사업을 통해 조사한 한・중・일의 장소 가운데 고려 교장의 송・요 불교계 교류와 유통에 대하여 『新編諸宗敎藏總錄 : 收錄文獻 總覽』의 자료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그 경향을 살펴보았다. 고려와 송의 불교 교류는 송 화엄종, 천태종 및 율종 관련 인물과의 장소 교류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고려 교장도감 간행의 교장의 송 불교계 유통과 전승을 살펴보면, 고려 교장이나 고려 전래본이 저본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송대 重刊 장소는 法藏和尙傳 등 10건이며, 『대소주경』은 의천의 주문에 의해 송에서 목판이 판각되어 고려에 수입되었고, 그 인본이 송나라에 재전되어 활용된 드문 사례이다. 한편, 이 시기 요나라에서 편찬된 불교 장소 교류는 고려를 매개로 유통된 점에서 특징적이다. 이 가운데 고려가 요에서 구득한 장소는 『교장총록』에 수록되어있고, 교장도감의 간행을 통하여 동아시아 불교계에 유통 또는 전승되었다. 이상의 고려 교장의 고려와 송 불교계 유통은 한문불교문화권에 있어 일방적 방향성을 갖는 것이 아닌 상호교류라는 관점을 제시할 수 있고, 동아시아의 제국이 장소를 전래할 때 고려와 송 등은 각국에 현존하지 않던 것을 중심으로 자국에 보충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고려 교장의 교류는 당시의 경전 및 장소의 유통을 통한 불교 교류사적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ing the Buddhist commentaries(敎藏) of Korea, China, and Japan through Goryeo-gyojang(高麗敎藏) gathering and DB construction projec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Goryeo-gyojang s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Song(宋) and Liao(遼) Buddhist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Buddhist exchanges between Uicheon and Song Buddhism were reviewed focusing on exchanges with monks related to the Hwaeom-sect(華嚴宗), Cheontae-sect(天台宗), and Gyeyul-sect(戒律宗). There are 10 Song Dynasty version(宋刊本), such as the Beobjang-hwasangjeo(法藏和尙傳), which are believed to be published by the Goryeo-gyojang or the Goryeo distribution. The exchange of the Buddhist commentaries compiled in the Liao(遼) Dynasty in the 11th-12th century East Asian Buddhism is characteristic in that it was distributed through Goryeo. As for the exchange trend of Goryeo-gyojang, this study can see the aspect that the Uicheon of Goryeo transmitted the lost Buddhist commentaries(章疏) in Song(宋), and on the one hand, the trend of mutual exchange accepting the latest books of the Song. Also, the exchange of the Goryeo-gyojang can point out the significance of Buddhist exchange through the circulation of the Scriptures and Buddhist commentaries(章疏) at that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의천의 송 불교계 교류와 고려 교장
Ⅲ. 고려 교장의 송 불교계 유통과 전승
Ⅳ. 고려와 요 불교계의 章疏 교류와 전승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용진(Park, Yong-jin). (2021).고려시대 敎藏의 송・요 불교계 交流와 전승. 북악사론, 13 , 155-185

MLA

박용진(Park, Yong-jin). "고려시대 敎藏의 송・요 불교계 交流와 전승." 북악사론, 13.(2021): 155-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