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허버트 스펜서(Herbert Spencer)의 교육론과 그 교육적 함의
이용수 861
- 영문명
- Herbert Spencer’s Educartonal Ideas and Its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저자명
- 박용석(Yong Suk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25권 제3호, 25~5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진화론의 토대 위에서 교육론을 전개한 허버트 스펜서의 교육사상을 그의 지‧덕‧체 교육을중심으로 그 전개과정을 탐색하고 특히 그의 교육사상 형성 배경과 그의 지‧덕‧체 교육이 갖는 교육적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펜서의 성장사적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19세기 영국교육에 큰 영향을 준 페스탈로찌의 교육사상을 스펜서는 비판적으로 수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그의 교육사상의 토대가 되는 사회유기체설과 사회진화설의 개요를 정리하고 그의 지‧덕‧체 교육을 세 측면으로 나누어 그 전개과정을 탐색하였다. 결론에서 그의 지‧덕‧체 교육론이 우리 교육에 주는 함의를 다각적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지식교육 관련, 우리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의 유용성에 관한 함의이다. 둘째, 부모교육의 중요성을 환기시킨다는 점이다. 셋째, 체육교육의 중요성과 그 회복을 요청한다는 점이다. 넷째, 주입식의 조기 과잉교육에 대해 경고한다는 점이다. 끝으로 우리 학교교육의 정체성에 관해 질문하게 한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erbert Spencer’s educational ideas focusing on his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and to draw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plored his history of growth first, and then the influence of Pestalozzian educational ideas on his ideas, and his theory of social evolution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organism. And this paper explaind the evolvement of Spencer’s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in order and tried to interpret its meanings in every section. In the part of conclusion, this paper drew some eduational implications from his ideas as follows. First, Spencer’s asks if the knowledge the students learn in schools is useful. Second, his ideas rouse the atten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for parenting. Third, his ideas demand more emphasis on physical education. The fourth, his ideas warn the danger of spoon-fed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Finally, his ideas throw some questions on the identity of ou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스펜서 교육사상 형성의 배경
Ⅲ. 스펜서의 지⋅덕⋅체 교육론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청소년 사회・정서적 역량 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