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읍민속마을의 전통과 무형유산의 보존방향

이용수 189

영문명
Traditions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Seong -eup Folk Village in JeJu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좌혜경(Hye Kyung Choa)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39권,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주적인 고유성을 지닌 다양한 전통문화를 보여 줄 수 있는 대표적인 곳으로 1984년 국가지정중요민속자료 제 188호로 지정된 성읍민속마을은 진정성 있는 민속마을로의 복원과 무형유산의 보존이 절실하다. 성읍민속마을은 조선시대 500여 년 동안 정의현의 현청소재지였던 마을로 제주지역의 전통경관 및 다양한 문화가 유지 전승되고 있으며 세계문화 유산적 가치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성읍민속마을은 현대화되면서 많은 전통의 변화와 더불어 민속마을로서의 정체성도 약화된 게 사실이다. 민속마을로의 정체성을 찾는 일로 가장 우선 되어야 하는 것으로 무형유산의 전승보존 활성화를 통해 살아있는 민속마을로의 복원 정책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실천함으로써 전통이 살아 있는 마을로서의 자리매김이 필요하다. 성읍마을의 무형문화유산은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 95호 제주민요 가 이 지역을 중심으로 보존 전승되고 있으며, 오돌또기, 산천초목, 봉지가와 맷돌노래가 포함되고 있다. 또 독특한 민요 유형으로 지역성을 띤 조선족 500년 동안 정의현의 현청소재지에 파견된 관기들에 의해 전해지던 창민요 가 민간에 전해지면서 불려지고, 전통적인 농업노동인 조밭밟기, 김매기, 꼴베기, 타작질 등의 작업과 같이 불리던 노동요들이 전해지고 있다. 장례의식과 관련되어 불리는 의식요로 행상소리, 달구소리, 진토굿소리, 꽃염불 소리가 전해지고 있다. 상여를 가름 밖 상두꾼들에 의해 (葬地)까지 메고 행상하면서 부르는 행상소리 혹은 상여소리 , 봉분에 쌓을 흙인 진토 를 파면서 부르는 진토굿소리 , 흙을 쌓은 뒤 달굿대로 봉분을 다지면서 부르는 달구소리 가 있다. 전통 초가가 잘 남아있는 성읍마을의 초가집 짓기인 초가장 을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 19호로 지정하고, 초가를 짓는 기능이 뛰어난 장인인 (木工), 석공(石工), 토공(土工), 모공(茅工) 보유자들이 국가장인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전통주 오메기술과 고소리술 제조기능은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제 3호, 제11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소주(燒酒)를 내리는 소줏고리를 제주어로 고소리 라고 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차조로 빚은 전통 토속주를 고소리술 이라고 했다. 이외에도 전통의례로서 음력 7월 14일에 우마를 기르는 집에서는 말과소의 증식을 위한 제사를 지내고 풍년들기를 기원하며 무속의례인 제석제를 지냈고, 마을 리장은 향회를 소집한 후 (祭官)선, 제향비, 제청결정을 하고, 걸궁 을 통해 제비를 마련 한 후 열두 명의 제관이 모여서 유교식 포제를 지내기도 했다. 12절기 세시행사인 세시풍속은 성읍 마을의 민속적인 기층을 보존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그간 지켜져 온 삶의 일부분이 무형의 자산으로 남아 있다. 성읍마을의 보존정책은 민속적 전통을 복원하고 무형유산 중심의 효율적인 보존 관리와 활용에 대한 장기 계획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s pert of the efforts to recover the identity of Jeju residents an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and specific system to protect the tangible aid intangible cultural assets along with preserving the Jeju Islaid s tiaditional culture is desnate1y needed. Such being the cse, there is a dire need to protect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o restore the traditions of the Seong-eup traditional village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s no. 188 as important ethnic data in 1984. This is the one and only authentic and quintessential place where various Jeju culture can still be see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Seong-eup Folk Village in Jeju is more than feasible as it had been the very village where it was the main governing prefecture called Jeong-eui-hy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for over 500years. As such, various Jeju culture and traditional scenes have been perfectly preserved and maintained until now and has an excellent universal value for all mankind. The foundation basis to maintain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 such as the straw house artisan, traditional food, and Jeju folk songs should especially be made secure while a designation system to appoint each ethnic villages mather artisan according to skills and crafts, traditional village festivals, folk beliefs, lifestyle related to seasonal customs should be made as well. Only when this happens can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Jeju people with appropriate indigenous characteristics be hand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and will lead to the worldwid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the Seong-eup Village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for future generations to appreciate If we were to look for the true value of the Seong-eup Folk Village from the 10 universal value standards decreed by UNESCO, it qualitifies under 4 standards First, the subject in question has to be a cultural tradition that is in existence already or if it has disappeared, it has to be peerless or unique in its qualities at the least. In relation to that, the Seong-eup Village is in possession pf Jeju s unique lifestyle and abundant straw thatched house, Jeju folk songs, Omegi wine, Gosori liquor, Natural monuments, the old castle ruins, Dolharubang (stone grandfather statues), folk beliefs, folk materials and numerous other intangible cultural assets to list just a few. Secondly, there are exceptional cases of construction forms which give evidence to important stage in human history which are both architectural and technical along with breathtaking sceneries. As for cultural assets related to the list mentioned above, there are the nationally designated folkore data of the Seong-eup Village itself along with 5 traditional house of Jo Ilhoon, Ko Pyeong-oh, Lee Youngsook, Han Bonfil and Ko Sanggeun. In addition, there are the Jeju Province designated tangible assets such as the np2 5 Jeongeuihyanggyo, no. 7 Ilgwanheon, and the 12 Dolharubang (stone grandfather statues). ALL there have been preserved in pristine conditions. Other than the items that are mentioned above, the main building, the guesthouse South Gate, West Gate and the fortress area of the whole area of Jeongquihyeon Administration Square has been restored to its former glory. All in all, it is well-maintain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atus of the Village in its original form. Thirdly, they are the representative cases where environments are threatened when a fixed traditional ground representing the culture or in how the land or ocean are used through interchanges with the human environment which has become irreversible. The Seong-eup folk village is located within the mid-mountainous region while the Oreums (parasitic volcanos) surround the village in all sides while the cheonmicheon River flows put to the ocean. As it can be seen, nature s scenic panorama are fused well with its cultural assets maintaining its value to its optimu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좌혜경(Hye Kyung Choa). (2013).성읍민속마을의 전통과 무형유산의 보존방향. 제주도연구, 39 , 1-31

MLA

좌혜경(Hye Kyung Choa). "성읍민속마을의 전통과 무형유산의 보존방향." 제주도연구, 39.(2013):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