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물다양성과 지역먹을거리운동

이용수 31

영문명
Biodiversity and Local Food Movement in Jeju
발행기관
제주학회
저자명
현혜경(Hye Kyung Hyun)
간행물 정보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39권, 33~6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주지역은 생물권보전지역 및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 등으로 유네스코에 의해 지정되어 있다. 이는 제주지역의 자연유산이 인류의 지속적인 삶을 위해서 인류공동이 보전할 가치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다시 한 번 제주지역 사회의 개발과 사람들의 삶의 방식에 대한 역사적 궤적을 훑어보는 계기를 만들기도 했다. 제주지역은 1906년대 이후 줄곧 국가 주도 아래 단 기간에 한국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개발되어왔다. 개발 과장에서 전통적인 공간들은 급속히 해체되었고, 섬 주민들의 전통적인 생활방식과 자연환경은 전면적인 변화를 맞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섬 공동체를 유지시켜오던 생태순환적 삶 방식의 해체와 그로 인한 주민들의 정체성 혼란, 지역에 남아있던 다양한 문화의 소멸과 지나친 자연환경의 파괴에 대한 문제는 개발 이래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생물다양성과 관련하야, 제주사람들은 이것이 섬이라는 특수한 공간에 살고 있는 공동체의 생존과 관련된 일이었기에, 자연을 대하는 태도는 진지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제주지역이 유네스코 생물다양성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는 것은 제주사람들에게 희귀하거나 보전할 생물이 많은 지역을 보전한다는 의미를 넘어서 제주사람들의 심연에 자리한 자연에 대한 인식과 이용방식의 문제를 다시 한번 환기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인식의 환기는 일상의 먹을거리를 통해 생물다양성을 지키고 나아가 공통체를 활성화시키고, 지역사회를 재구조화시키는 문제로 확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2000년대 들어 제주지역에서는 먹을거리와 관련된 운동들이 집중적으로 확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먹을 거리 운동은 시민사회뿐만 아니라, 학교 관공서 등 여러 주체들에 의해 다양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생물다양성의 문제를 비롯해 먹을거리 주권관 안전성, 윤리의 회복, 공동체 활성화 등 복합적 배경 위에 전개되고 있다. 먹을거리 관련 운동들이 여러 다양한 배경의 결합 속에서 전개되고 있음에도 근본적으로는 제주지역에서 생태적순환체계를 이루던 시기의 먹을거리의 전통을 재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생물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을 보존하며, 중앙 통제 개발로 인해 무너진 지역사회를 재건하고자 하는 분권적 태도를 지니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생물권 보전 지역이라는 특정지역의 인식을 넘어서 그 특정지역이 속해있는 제주지역 전체를 하나의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확대되는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생물 다양성을 보전하려는 노력은 문화다양성의 문제로 이전되어 재해석되는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일들은 생물 자체의 보전만이 아니라, 그것과 연결된 생활이나 문화와 함께 연동되거나 생활 속에 녹아 남으로서 훨씬 더 효율적으로 보전할 수 있다는 논의를 이끌어 내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생물다양성과 관련하여 제주지역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역사회의 운동 중 먹을거리 운동을 중심으로 운동의 전개와 그로 인한 의식변화를 살펴보고, 생물권 보전지역에 대한 공간인식의 확대와 시민사회에서 어떻게 재해석 과정을 거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Jeju Island has been designated by UNESCO as Biosphere Reserve, World Natural Heritage, and World Geological Park. This designation not only means that Jeju s natural heritage is valuable asset for sustainable Human life, bu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Jeju community development and the way of life of Jeju people. Jeju Island has been developed as one of Korea s leading toyrist attractions by the central government since the 1960s. Tradutional spaces have rapidly been dismantled dur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Accordingly, traditional community lifestyle and natural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have rapidly been changed. The end of ecological-circulation oriented life style that supported is land community and subsequent identity crisis, cultural discontinuation and excessive destruction of environment are ongoing issues. With regard to biodiversity, Jeju people s attitude toward nature has been genuine and important, because it is vital for the survival of community in an island such as Jeju. Hence, the UNESCO designation of Jeju Biodiversity Conservation Area enables Jeju people to reconsider their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nature. This reconsideration can further be extended to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and reconstruction of local social organizations. Jeju Island in the 2000s saw the spread of food-related social actions (food movements_. Food movements spread widely by civil societies, schools, government offices. Issues were diverse and complex, and included biological diversity, food sovereignty and security, the restoration of ethics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Although food movements were being deployed in a combination of many different backgrounds, the fundamental basis of the movements was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foods in the ecological circulatory system (which formed the basis of bio- and cultural diversity, and revitalization of community). During such process, the whole Jeju region, rather than specific areas designated as Biosphere Reserve within Jeju, was considered as Biosphere reserve. In addition, efforts to conserve biological diversity expanded to include the issue of cultural diversity To promote biodiversity, there was a growing recognition that, rather than simply preserving wild animals, the preservation should be associated with life activities and culture, so that wild life could be preserved much more efficiently. The aim of present paper was to examine community food movements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people s awareness in Jeju with regard to biodiversity. Further, the recognition that biosphere reserve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the whole Jeju was examined focusing on how this recognition was reinterpreted in community organization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현혜경(Hye Kyung Hyun). (2013).생물다양성과 지역먹을거리운동. 제주도연구, 39 , 33-69

MLA

현혜경(Hye Kyung Hyun). "생물다양성과 지역먹을거리운동." 제주도연구, 39.(2013): 33-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