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순수욕망을 향한 여정, 영화 <후쿠오카>

이용수 136

영문명
Journey to Pure Desire, the Movie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한귀은(Han, Gwi-Eun)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86집, 287~31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장률의 영화 <경주>,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후쿠오카>는 결핍의 주체 멜랑콜리커가 주인공이다. 이들이 욕망하거나 상실한 대상은 불분명하다. 그러나 그들은 그 대상을 찾는 과정에서 우정과 연대를 경험한다. 특히 <후쿠오카>에서 상실한 대상인 ‘순이’는 욕망의 대상이라기 보다는 욕망의 원인인 ‘대상a’이다. 순이는 그 기의 때문이 아니라 텅 빈 기표 그 자체로 제문과 해효에게 대상a가 된다. 그들은 대상a로 인해 상실과 고통을 향유하는 주이상스를 겪게 되지만 또 그 때문에 소담과 우정의 관계를 맺게 된다. 제문과 해효, 소담은 대상a의 환유적 장소에 머무는 디아스포라이다. 그들이 실재계적인 순간에 마주치게 되는 것도 상실한 대상에 대한 끊임없는 결핍감 때문이다. 실재계는 재현될 수 없고, 언어로도 포착되지 않으며, 환상으로 접근할 수 있을 뿐이다. <후쿠오카>는 핸드헬딩의 비인칭 시점의 카메라와 미장아빔 구조를 통해 실재계의 징후를 암시한다. 비인칭 시점의 카메라는 익명적 쇼트를 구성하면서, 마치 상징계의 틈으로 드러난 실재계를 보여주는 듯한 장면을 연출해낸다. <후쿠오카>의 주요인물들과 사물은 틈이나 구멍을 통해 보여질 때가 많다. 누구의 시점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비인칭의 응시는 유령이 출몰하는 듯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현실과 꿈과 실재가 뒤섞이는데, 그 경계를 구분하기 어렵다. 미장아빔 구조는 그 구별 자체가 무화되는 지점에서 의미를 띠며 다수의 장면들이 서로 반향된다. 이런 경계의 해체는 외화면과 내화면의 절합 몽타주를 통해 더 강화된다. 제문, 해효, 소담은 상징계의 질서 속에 적당히 편입되지 못한 주체이다. 이들은 결핍감 속에서 실재계의 징후를 감지하며 살아간다. 이것은 라캉이 말한 윤리와 접목된다. 윤리적 욕망은 현실과 상징계에 근거한, 쾌락과 연동되는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 혹은 상징계에서 벗어나 존재의 결여를 긍정하는 순수욕망이다. 실재계로 향하는 여정에 순수욕망이 발생하고, 이런 순수욕망을 지향하는 태도가 존재 회복에 이르게 하는 윤리인 것이다. <후쿠오카>는 이러한 순수욕망의 윤리를 비인칭 시점의 카메라와 미장아빔 구조를 통해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관객의 봉합작용을 차단하면서 이 시대의 욕망과 상실, 향유에 관해 사유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후쿠오카>의 동시대성을 논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main characters are melancholikers, the subject of lack in Zhang Lu s films , , and . What they desire or lose is unclear. However, they experience friendship and solidarity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object. In particular, ‘Sooni(순이)’, ‘the object lost’ in the film , is not the object of desire, but rather ‘objet a(objet petit a)’, which is the cause of desire. Sooni becomes ‘objet a’ to Jemoon(제문) and Haehyo(해효), not because of that signifier, but by the empty signifier itself. They suffer from loss and pain due to ‘objct a’, but also form a friendship with Sodam(소담). Jemun, Haehyo, and Sodam are diaspora that stay in the metonymic place of ‘objet a’. What they encounter in the Real moments is due to their constant lack of lost object. ‘The Real’ cannot be represented, it is not captured in language, it is only accessible as an illusion. implies signs of the Real through a handhelding camera of a non-personal perspective and a mise en abyme structure. The camera of a non-person perspective creates an anonymous shot, creating a scene as if showing the Real revealed through a gap in ‘the Symbolic’. The main characters and objects in are often seen through gaps or holes. The non-personal gaze, wher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ose point of view, creates an atmosphere of haunting ghosts. In this atmosphere, reality, dream, and the Real are mixed,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boundaries. A mise en abyme structure takes on meaning at the point where the distinction itself becomes atomized, and a number of scenes echo each other. The deconstruction of these boundaries is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the articulation montage of off-screen and on-screen. Jemun, Haehyo, and Sodam are subjects that have not been properly incorporated into the system of the Symbolic. They live by sensing the signs of the Real in a sense of lack. This is combined with the ethics that Lacan said. Ethical desire is not a desire of others, based on reality and the Symbolic linked to pleasure, but a pure desire that affirms the lack of existence out of reality or the Symbolic. Pure desire arises on the journey to the Real, and this attitude toward pure desire is an ethic that leads to the restoration of existence. talks about the ethics of pure desire through a camera of a non-personal perspective and a mise en abym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iscuss the contemporaneity of in that it blocks the audience s suturing and makes them think about the desire, loss and enjoyment of this era.

목차

1. 서론
2. 순이: 욕망의 원인, 대상a
3. 비인칭 시점과 미장아빔 구조
4. 실재계를 향한 순수욕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귀은(Han, Gwi-Eun). (2020).순수욕망을 향한 여정, 영화 <후쿠오카>. 한국문학논총, 86 , 287-319

MLA

한귀은(Han, Gwi-Eun). "순수욕망을 향한 여정, 영화 <후쿠오카>." 한국문학논총, 86.(2020): 287-3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