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후 식민청산 결여와 재일조선인의 미해방

이용수 93

영문명
Unsettled Cleaning-up of Japan’s Colonialism and Unliberated Korean Residents in Japan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李信澈(LEE Sin-cheol)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85집, 151~17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일본의 패전 이후 미국에 의해 일시적이나마 ‘해방민족’으로 호명되었던 재일조선인들이, 해방민족으로서 아무런 권리도 가지지 못한 채 국적 없는 외국인으로 지위가 규정되는 배경에 관한 것이다. 재일조선인의 지위가 단순히 일본의 조선인배제 정책만으로 규정되었다기보다, 전승국 중심의 전후처리에서 식민지배에 대한 사과나 식민주의 청산이 결여된 것이 더욱 중요한 요인이 되었음을 말하고자 한다. 나아가 사회주의 소련의 식민주의 청산 인식 또한 연합국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살펴본다. 한편, 예외적으로 38선 이북에서 일정한 자치권을 확보한 북조선 당국이 일본인관료들을 식민지배의 책임을 물어 체포하고 징역형을 선고한 것은 놀랄만한 일이었다. 그러나 그들을 귀환시키라는 일본 정부의 요구가 미군정을 통해 소련군에게 전달되었고, 일본인들은 석방되었다. 결국 북조선에서도 식민주의 청산은 그렇게 중단되었고, 그들 역시 재일조선인을 식민주의의 피해자이자, 새로운 국가의 ‘국민’으로 자각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했다. 오히려 재일조선인들에게 일본 혁명에 종사할 것을 당부하는 길을 택하고 말았다. 남북 모두에서 재일조선인의 귀환을 협상할 수 있는 정부가 수립되었지만, 두 국가는 전쟁의 소용돌이에 빠져들었다. 재일조선인은 안보를 지탱하는 보조적 수단으로만 인식되었다. 재일조선인은 결국 일본의 국적 없는 외국인이라는 지위를 강요받았고, 현재까지 냉전식민주의의 피해자로 남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plores how Koreans in Japan, who were temporarily considered ‘liberated people’ by the U.S. government after Japan’s defeat in the World War II, were legally categorized as stateless foreign persons. The statu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as not only stipulated by the Japan’s policy to exclude Koreans but also due to the absence of the Allied Powers’ accusation of Japan’s colonial occupation in the post-war context. Additionally, this article addresses the Soviet Union’s attitude for post-war settlement was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Allied Powers. However, in a exceptional case, the North Korean authority, which obtained a certain autonomy north of the 38th parallel, arrested and sentenced Japanese officials to prison for colonial occupation. The Japanese government’s demand for their return was passed to the Soviet Union through the U.S. military, and the Japanese were eventually released. This affected the way in which North Korea was unable to ‘clean up’ Japan’s colonial rule. After all, North Korea neither recognized Koreans in Japan as victims of Japan’s colonialism nor ‘nation’ of a liberated country. Instead, the North Korean government encourage Koreans in Japan to involve in socialist revolution in Japan. Consequently, although South and North Koreas gained sovereign powers to control the repatriation of Koreans in Japan, the two countries fell into a spiral of war. Korean residents in Japan were recognized as means of protecting their national security. In this context, Koreans in Japan had to become foreign stateless persons and have remained victims of, what I call, ‘cold war-colonialism’ until now.

목차

1. 머리말
2. 미·소의 식민청산 인식 결여
3. 전후 일본의 재일조선인 ‘처리’
4. 남·북의 재일조선인 정책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信澈(LEE Sin-cheol). (2018).전후 식민청산 결여와 재일조선인의 미해방. 한국근현대사연구, 85 , 151-177

MLA

李信澈(LEE Sin-cheol). "전후 식민청산 결여와 재일조선인의 미해방." 한국근현대사연구, 85.(2018): 151-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