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양군도귀환자명부』를 통해 본 해방 직후 조선인의 남양군도 재류현황

이용수 61

영문명
The Status of Korean Residents in South Sea Island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rough the “South Sea Islands’ Return List”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金明煥(KIM Myung-hwan)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85집, 77~11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남양군도귀환자명부』를 분석함으로써 해방 직후 남양군도 재류조선인의 현황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남양군도귀환자명부』 등재자들은 마리아나제도, 팔라우, 트럭(축) 등으로 동원되었던 민간인 및 군인·군속이었다. 지역적으로는 트럭(축) 동쪽을 제외한 남양군도 전역을 망라하고 있다. 『남양군도귀환자명부』 등재인원은 민간인 7,105명, 군속 3,990명, 군인 229명 등 11,324명에 달하였다. 그런데 누락지역이 확인되고, 동원인원에 비하여 승선인원이 적게 나타나는 지역도 있어서 『명부』 등재 인원보다 더 많은 조선인들이 해방 당시 남양군도에 재류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민간인은 대부분 북마리아나 및 팔라우에서 승선하였고, 트럭(축)은 소수에 그쳤다. 난요흥발(南洋興發)주식회사가 장악하고 있던 북마리아나에서는 호남 출신이 다수를 점유하였고, 난요척식(南洋拓殖)주식회사만 있었던 트럭(축)에서는 충청 출신이 대부분이었다. 이것은 난요흥발이 호남에서, 난요척식이 충청지역에서 전적으로 노동자를 동원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팔라우의 경우 조선인 노동자 동원에 다양한 회사들이 가담하였는데, 그 영향으로 승선자들의 출신 지역 분포도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민간인 중에는 여성 및 유소년도 적지 않은데, 이것은 가족 단위 승선자들이 많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군속은 트럭(축) 승선자들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이것은 태평양전쟁 당시 트럭(축)이 중요한 군사기지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팔라우의 경우 해군군속 없이 육군군속만 확인된다는 점이 특이하다. 군인은 트럭(축) 승선자만 일부 확인되는데, 모두 지원병 출신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the status of the Korean residents who returned from the South Sea Islands, right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by analyzing “South Sea Islands’ return list”. The list includes civilian personal, soldiers and civilian workers in the army and navy. They were forcibly mobilized to the Mariana Islands, Palau and Truk Island(Chuuk). The area on this list encompasses all of the South Sea Islands except the east of the Truk Island(Chuuk). The list has 11,324 names, including 7,105 civilians, 3,990 civilian workers in the army and navy, and 229 soldiers. However, some missing areas are identified in the list. In addition, there are some areas where the number of boarding passengers is less than that of mobilized people.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more Koreans were lived in the South sea Islands than the list at the time of liberation of Korea. Most civilians were boarded from the Northern Mariana and Palau, and few civilians boarded from Truk Island(Chuuk) relatively. In the Northern Mariana, where INC. Nanyo Kohatsu(南洋興發) was taking control, Koreans from Jeolla(全羅) Province occupied the majority.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Korean residents of Truk Island(Chuuk) were from Chungcheong(忠淸) Province. And the mobilization of manpower for Truk Island(Chuuk) was entirely handled by Inc. Nanyo Takushoku(南洋拓殖). This seems to reflect the result that INC. Nanyo Kohatsu mobilized workers in the Jeolla area and Inc. Nanyo Takushoku mobilized workers in the Chungcheong area. In the case of Palau, various companies participated in the mobilization of Korean workers. As a result, the hometowns of the passengers were variously distributed too. Among the civilians, there are some women and children which shows that there are many family-based residents. By the way, the identity of boarders on the Truk Island(Chuuk) is overwhelmingly civilian worker in the army and navy. This is because Truk Island(Chuuk) was important military base during the Asia-Pacific War. Palau is especially unique that only civilian workers in the army can be identified without civilian worker in the navy. Finally, soldiers are only identified among the passengers from Truk Island(Chuuk), and they are believed as a volunteer.

목차

1. 머리말
2. 『남양군도귀환자명부』 구성 및 현황과 등재인원 검토
3. 해방 당시 남양군도 각 지역별 조선인재류실태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明煥(KIM Myung-hwan). (2018).『남양군도귀환자명부』를 통해 본 해방 직후 조선인의 남양군도 재류현황. 한국근현대사연구, 85 , 77-116

MLA

金明煥(KIM Myung-hwan). "『남양군도귀환자명부』를 통해 본 해방 직후 조선인의 남양군도 재류현황." 한국근현대사연구, 85.(2018): 77-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