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 후 귀환구호운동의 전개와 미군정의 대응

이용수 390

영문명
Respondence of USAMGIK to Aid Relief and Repatriation of Overseas Korean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黃善翌(HWANG Sun-ik)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85집, 117~14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전후처리를 주도한 미국은 해외 한인 및 일본인·중국인·대만인 등을 포함한 1천만 명의 동아시아 인구이동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연합군총사령부는 아시아·태평양지역의 귀환을 주도했으며, 주한미군정은 38선 이남의 점령당국이자, 미태평양육군총사령부의 예하부대로서 한인 귀환의 책임 주체가 되었다. 일본인 송환과 해외 한인의 귀환은 제24군단 사령부의 G-3와 해당 지역 각급부대, 그리고 미군정 외사과가 담당했다. 초기 외사과의 임무는 주로 한인에 대한 정보 수집 및 통제에 한정되었다. 지역적으로도 일본에서 귀환하는 한인에 대해서만 관심을 기울였다. 주한미군정은 일본지역 한인 귀환에 대해 직접 업무를 주도하기보다 일본의 연합군총사령부 담당부서의 결정을 수용하는 소극적 자세를 견지했다. 일본과 중국지역 귀환이 순차적으로 추진되는 속에서 미군정은 현지 조사반을 파견하였지만, 귀환항구에서의 인원을 통제하고 연락을 담당하는 선에서 역할하였다. 국내에서 해외 한인의 귀환문제는 해방 직후부터 민족적 과제로 인식되었다. 이를 대변하듯 해방과 함께 해외 한인의 귀환과 구호를 도모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민족’과 ‘동포’에 대한 의식이 제고되는 가운데 전재동포인 귀환자들에 대한 관심과 구호 열기는 뜨거웠지만, 귀환 구호단체의 난립과 미군정의 통제 속에서 1946년 들어 구호운동은 침체되었다. 결국 귀환구호운동은 미군정의 국내정책, 좌우간의 대립양상에 의해 한계를 보였다. 즉 초기부터 원호부를 설치하며 한인귀환에 적극 나섰던 건국준비위원회는 미군정의 탄압으로 제대로 활동할 수 없었고, 비교적 활동이 자유로웠던 중도우파의 원호단체들은 진용에 비해 미비한 활동을 보이고 있었다. 그런 사이에 각종 원호단체가 난립하며 체계적인 구호활동을 전개하지 못하였다. 또한 미·소 간의 대립과 좌우간의 충돌, 중국 대륙에서의 국공내전, 일본 사회의 우경화 등으로 온전한 성과를 거두기 힘들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United States, which took a lead the postwar settlements, decisively exercised to East Asian migration of the 10 million, including oversea koreans, Japanese, Chinese and Taiwanese. GHQ/SCAP led a return in the Asia and Pacific area.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became a responsible agency of the oversea Korean’s return program as a subordinate of the United States Pacific Command. The G-3 in the command of USAFIK XXIV Corps, each units of the region and the U.S. military rule the foreign affairs section took a charge of the return of overseas Koreans and Japanese repatriation. The foreign affairs section also focused on Koreans from Japan, in locally. The USAMGIK took a passive stance to accept the GHQ department’s decision rather than took the lead in a work directly about the Korean extradition. The negotia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was started with repatriation of Japanese companies in China and the return of Koreans in the middle of October, 1945. The USAMGIK dispatched contact forces in Shanghai, Tingtao and Tianjin to take charge of extradition of Koreans in early 1946. However, contact forces of the USAMGIK only supported a task of the headquaters commender of China. In Korea, the issue of overseas Koreans extradition were recognized as a national task, since after the liberation. So, for the efforts of relief and return of overseas Korean were actively deployed. The nation s major groups and members were called people, who was returned from abroad, as the Relief Society for War Sufferers, because they suffered the ravages of war with colonial rule. Event though, repatriation aid and interest on the Relief Society for War Sufferers were getting hotter, but slumped amid tightened control of the USAMGIK. ‘Korean War Relief Organization, Committee to Aid Countrymen from Abroad’, which was consisted of middle-grounders, urged to give better treatment to the returners and stable settlement. Also, they raised objections about the problems, which gave Japanese nationality in Koreans in Japan, and strongly condemned the USAMGIK. However, the movement of the return in domestic has the limitation, because of the USAMGIK’s policy of domestic and conflicts between the right and left. In other words, the preparing committee for establishing a new nation, which was to install Public Health and Welfare from the beginning and showed and enthusiastic attitude about overseas Koreans return, could not worked, because of the suppression of the USAMGIK. Also center-right relief organizations acted incompletely. At that time the various relief organizations were flooded, because of this systematic relief efforts failed. Relief movement were could not achieve complete success, because of the Chinese Civil War in the China, conservative swing of the Japanese society and a precarious domestic situation.

목차

1. 머리말
2. 미군정의 귀환 대책과 실상
3. 귀환구호단체의 활동과 미군정의 대응
4. 귀환의 침체와 구호·구출운동의 난항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黃善翌(HWANG Sun-ik). (2018).해방 후 귀환구호운동의 전개와 미군정의 대응. 한국근현대사연구, 85 , 117-149

MLA

黃善翌(HWANG Sun-ik). "해방 후 귀환구호운동의 전개와 미군정의 대응." 한국근현대사연구, 85.(2018): 117-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