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김해만 정치체의 형성과정과 수장층의 출현

이용수 384

영문명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olitical Body in Paleo-Gimhae Bay and the Advent of the Ruling Class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이동희(Lee, Dong-Hee)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5호, 147~193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고김해만을 중심으로 구간사회(九干社會)의 기원인 지석묘축조사회로부터 목관묘가 출현하고 구야국(가락국)의 국읍이 성립하는 단계까지 살펴보았다. 지석묘 축조집단과 관련되는 구간사회는 기본적으로 촌락 단위로 구분되었으며 우열이 있으나 독립성도 있었다. 한국식동검문화의 파급과 함께 구간사회의 유력 촌락을 중심으로 의례공동체 과정을 통해 읍락형성기를 거쳤는데, 특히, 대성동 일원의 해반천유역에서 그러한 양상이 두드러진다. 읍락의 맹아를 유추할 수 있는 고고학적 현상은 구지봉 지석묘와 환호시설, 대성동 환호시설, 구산동의 초대형 지석묘 등과 관련된다. 구지봉이나 구산동지석묘의 예를보면 의례적 공동체 범위가 읍락 정도의 공간적 범위를 아우를 정도이다. 이 단계에도 개별 촌락들은 자치권을 유지하였으므로 후대에 구간사회로 표현되었을 것이다. 의례의 중심지와 정치적 중심지는 긴밀한 연관성을 갖는다. 기원전 1세기 혹은 기원전후 무렵에 이주민과 관련된 목관묘의 출현과 함께 삼한 소국의 하나인 구야국 성립 단계에 이르렀다. 읍락형성기나 구야국 성립과정에서 경제적 배경은 ‘고김해만’이라는 대외교역의 거점으로서의 지정학적특수성이 큰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집단의 우두머리(首長)의 성격은 지도자로부터 지배자로 점차 전환되었을 것이다. 즉, 지석묘 축조사회는 개인의 위세보다는 집단전체의 통합을 강조하는 공동체 지향의 수장이고, 구간사회를 통합한 목관묘 축조집단은 개인 지향의 수장으로서 본격적인 정치체가 형성된 단계이다. 완만한 혈연적·의례적 공동체를 정치적 공동체로전환시킨 것은 철기문화를 가지고 선진 정치체제를 경험한 북방 이주민과 관련될 것이며, 고고자료로서는 목관묘군집과 관련될 것이다. 하지만, 목관묘 단계 사회는 정치적 권력에서 일정한 한계성도 보인다 즉, 목관묘 단계는 일반대중과 분리되어 배타적인 권력과 지위를 갖는 통치자의 면모는 미약한 측면이 있다. 지배-피지배 계층의 명확한 구분은 묘역이 구릉 정상부의 탁월한 입지로 분리되고 다량의 유물을 부장하는 대형 목곽묘 출현기가 되어서야 두드러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a phase in history from the society that built dolmens to the period when wooden coffin graves appeared and the state of Garak was established centering on Paleo-Gimhae Bay. The nine-ruler society related with the dolmen constructing group was divided by settlements which had superiority and inferiority as well as the sense of independence. With the spread of Korean bronze dagger culture, the nine-ruler society went through the formation of villages through the phase of ritual community centering on dominant settlements, and in particular, this is shown prominently in the basin of Haebancheon Stream. In the case of dolmen in Gusan-dong, the scope of the ritual community is such that it as large as the spatial scope of Eup-rap(邑落). The ritual center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olitical center. Around the beginning of the common era, wooden coffin graves appeared in relation to immigrants and the state of Garak was established. Th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leo- Gimhae Bay as the base of international trade must have played the biggest role in the economic background for the formation of Eup-rap(邑落)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of Garak. The nature of the leader of the group must have shifted from leader to ruler in this process. The leader in the dolmen constructing society is the community-oriented leader who emphasizes the unity of the entire group than the personal authority whereas the leader in the wooden coffin constructing group is the leader emphasizing personal authority, forming the full-scale political body.

목차

Ⅰ. 머리말
Ⅱ. 지석묘, 구간사회, 읍락의 형성
Ⅲ. 목관묘의 출현과 구야국의 성립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희(Lee, Dong-Hee). (2019).고김해만 정치체의 형성과정과 수장층의 출현. 영남고고학, (85), 147-193

MLA

이동희(Lee, Dong-Hee). "고김해만 정치체의 형성과정과 수장층의 출현." 영남고고학, .85(2019): 147-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