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옥황묘계 화격검의 계통과 전개

이용수 51

영문명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Yuhuangmiao Bronze Daggers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김동일(Kim, Dong-il)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5호, 119~14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화격검이란 중국에서 검격의 문양이 도철문양인 동검을 지칭하며, 연구자에 따라서 진식단검 혹은 적식검 등으로도 불린다. 화격검과 진식단검에 대한 연구는 그 계통이 북방유목문화와 중원문화로 구분되어 연구가 시작되었지만, 종내 같은 계통임을 인식하게 된다. 필자는 중국 境內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속하는 우촌M1과 서관촌M1 출토품에서북방유목문화의 색채가 명확하게 드러나며, 알타이와 미누신스크 중부지역 출토품을 고려하여 그 기원을 북방유목문화라 판단하였고, 이 동검을 “유목계 화격검”으로 명명한다. 유목계 화격검은 춘추시기가 되면, 秦문화와 옥황묘문화로 유입되고, 그중 진문화로 유입되어 재지화된 화격검을 “진계 화격검”으로 명명한다. 또한, 이전 연구에서 옥황묘문화로 유입되어 재지화된 화격검과 이보다 늦은 시점에 중산국으로 유입되어 재지화된 화격검을 각각 “옥황묘계 화격검”과 “중산국계 화격검”으로 명명하였다. 옥황묘계 화격검은 옥황묘문화 형성기인 춘추중기에 처음으로 제작되며, 여러 문화 계통의 영향을 받거나, 여러 문화요소가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도 제작된다. 그중 음각으로 표현된 옥황묘계 화격검은 유목계 화격검의 전통적인 제작 방식을 이어받았다. 양각으로 문양을 표현하는 A4Ⅱ소류 중 일부는 옥황묘계 직인검으로 변화되고, 옥황묘계 편경검과 결합한 A4Ⅳ소류는 옥황묘문화에 계속해서 잔존한다. 옥황묘계 화격검의 계통성을 집중적으로 분석한 결과, 유목계 화격검은 진계 화격검과 옥황묘계 화격검으로 나누어지며, 그중 전통성은 옥황묘문화와 중산국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확인하였고, 그 전통성은 음각표현의 화격검을 의미한다. 같은 북방유목문화 계통인 옥황묘문화는 전통적인 음각 표현을 중시하였고, 이 방식이 중산국으로 이어지며, 이를 통해 중산국의 중심에는 옥황묘문화에서 이주한 집단의 존재를 상정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ne type of swords with an adorned guard is a bronze dagger that uses Taotie patterns on the guard; these are called Qin-style swords or Qin’s daggers, depending on the researcher. Although early research on swords with adorned guards and Qin’s daggers were split into the northern nomadic culture and Central Plain culture, researchers came to realize that both types originated from the same type of sword. Considering that Yu Village M1 and Xiguan Village M1, which belong to the earliest period of China’s territory, show strong elements of northern nomadic culture, and comparing them with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central area of Altay and Minusinsk, this author determined that these bronze daggers originated from northern nomadic culture and named them “nomad-originated swords with adorned guards.” Nomad-originated swords with an adorned guard were introduced into Qin Culture and Yuhuangmiao Culture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this author named those introduced into Qin Culture “Qin-originated swords with the adorned guard.” In addition, swords with adorned guards introduced into Yuhuangmiao Culture and those introduced into Kingdom Zhongshan from previous studies were named “Yuhuangmiaooriginated swords with the adorned guard” and “Kingdom Zhongshan-originated swords with the adorned guard,” respectively. Yuhuangmiao-originated swords with an adorned guard that were first produced in the mid- Spring and Autumn period, which began to form Yuhuangmiao Culture, were affected by various other cultures, and made into new types of swords in combination with different cultural elements. An analysis focusing on the origin of Yuhuangmiao-originated swords with adorned guards confirmed that nomad-originated swords with adorned guards were divided into Qin-originated swords with adorned guards and Yuhuangmiao-originated swords with adorned guards, and there was a trend of a tradition that continued through Yuhuangmiao Culture and Kingdom Zhongshan.

목차

Ⅰ. 머리말
Ⅱ. 화격검에 대한 인식과 기원 문제
Ⅲ. 화격검 출토 주요 유적
Ⅳ. 옥황묘계 화격검의 편년과 전개
Ⅴ. 고찰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일(Kim, Dong-il). (2019).옥황묘계 화격검의 계통과 전개. 영남고고학, (85), 119-146

MLA

김동일(Kim, Dong-il). "옥황묘계 화격검의 계통과 전개." 영남고고학, .85(2019): 119-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