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항 남성리고분군 출토 甲冑의 특징과 의의

이용수 202

영문명
Characteristic Features and Archa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Armor Excavated at the Ancient Tombs of Namseong-ri in Pohang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김혁중(Kim, Hyuk-Joong)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5호, 195~22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남성리고분군이 위치한 포항 흥해지역은 신라가 동해안 방면으로 진출하는데 중요한 지역이다. 이 유적의 갑주는4세기 자료가 중심이나 5세기 자료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남성리고분군 출토 갑주는 정치적 성격뿐만 아니라 이제까지 자료가 부족하였던 4세기대 신라 갑주의 양상을 잘 보여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갑주의 성격을 파악하는 방법은 당시 갑주가 중앙과 지방 간에 이루어진 공급과 수요 과정을 살피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까지 갑주 연구는 신라와 가야의 차이나 지역성을 밝히는데 주력하여 갑주 자료를 통한 내부 관계는 검토하지못하였다. 이에 필자는 남성리고분군 출토 갑주 양상을 통해서 이 과정을 추정해보았다. 검토 결과, 남성리고분군에서 출토된 4세기 전반대 갑주는 신라 중앙인 경주지역과 큰 차이를 확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 지역은 4세기 후반 이후 점차 중앙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데 그 대표적 갑옷으로 찰갑을 들 수 있다. 이 차이는 갑주의 양식적 차이가 아니라 공통성이 강해진 상태에서 구조 등의 질적인 면을 말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신라중앙과 지방에서 확인되는 갑주는 함께 부장되는 부속갑 등에서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갑주의 공급과 수요에 큰 차이가 없던 4세기 전반대 양상과 다르다. 신라 중앙과 지방 현지 집단의 관계에는 변화가 있었으며 포항 남성리고분군뿐만 아니라 울산 중산리고분군과 영천 화남리고분군도 동일한 양상을 보인다. 4세기대 신라의 지방 지배는 크게 간접 지배의 성격으로 보는 시각과 철저하게 지배 예속된 관계로 보는 시각으로나눌 수 있다. 정치적 성격을 잘 보여주는 갑주 자료로 보면 4세기대 신라의 지방 지배가 철저하게 지배 예속되었다고보기 어려우며 간접 지배를 반영하고 있다고 이해된다.

영문 초록

The area around Heunghae -- where the ancient tombs of Namseong-ri are located -- had been a strategic point for Silla (57 BCE ~ 935) in advancing into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armor, together with other related objects unearthed at the site, serves as important sources of knowledge on the armor-related tradition developed in the area during the 4th and 5th centuries. Som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armor, particularly the uniqu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rareness, suggest that the relic was produced for use as an object of prestige. The armor is considered archaeologically significant since it contains a wealth of clues to increase knowledge of the Silla armors made in the 4th century,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lack of source materials. For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illa armors,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system of supply and demand of the armors linking the capital and regional areas. Unfortunately, however, comparatively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difference between Silla and Gaya armors and their characteristics by region. In this study, the main discussion deals with the mechanism of supply and demand of Silla armors by focusing on the armor discovered at the ancient tomb site in Namseong-ri.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pply and demand of armors between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and the regions outside it in the 5th century. The study also concludes -- based on the evidence given by the Namseong-ri armor, tha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armors supplied to Gyeongju and to regional areas in the 4th-century Silla. It was in the following century, with the arrival of scale armor, that a difference began to emerge -- not in style but in structu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mors found in Gyeongju and those in the regions outside is clearly shown by, among others, the accessories buried at the grave together with the main parts of the armor. It was surely a new development compared with the 4th century when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capital and regional areas in terms of the supply and demand of armors. The development provides evidence of the significant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ing class in the capital of Silla and regional clan leaders. Evidences of such change are given by the discoveries made at the Namseong-ri tomb site in Pohang, Jungsan-ri tomb site in Ulsan, and Hwanam-ri tomb site in Yeongcheon. There have been two different views proposed on the control of the regional areas by the central government of Silla in the 4th century: one is that the rulers in Gyeongju controlled the regions indirectly, and the other is that the regions wer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As suggested by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Namseong-ri armor as discussed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pital and regions of Silla in the 4th century can hardly be said to be that of the rulers and the ruled.

목차

Ⅰ.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Ⅱ. 남성리고분군 출토 갑주 양상과 특징
Ⅲ. 남성리고분군 출토 갑주의 의의 - 주변 지역과의 비교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혁중(Kim, Hyuk-Joong). (2019).포항 남성리고분군 출토 甲冑의 특징과 의의. 영남고고학, (85), 195-221

MLA

김혁중(Kim, Hyuk-Joong). "포항 남성리고분군 출토 甲冑의 특징과 의의." 영남고고학, .85(2019): 195-2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