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 월성북고분군 출토 대부완의 분류와 편년

이용수 481

영문명
Classification and Chronology of Pedestal Bowl from Gyeongju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박형열(Park Hyoung-Youl) 성학경(Seong Hak-Gyeong)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3호, 61~9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1.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글은 대부완을 대상으로 형태적 차이에 의한 기종분류와 각 세부 기종별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신라토기에서의 시간적 위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대부완은 대각이 붙은 완으로 파수의 유무에 따라 파수가 있는 것은 파수대부완, 파수가 없는 것은 대부완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대부완은 완신부에 돌대의 유무에 따라 있는 것은 돌대문 대부완, 없 는 것은 소문 대부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존 신라토기 연구에서는 대부완을 파배나 고배 등과 혼동하여 용어를 사용하므로 그 변화양상을 이해하기 힘들 거나 고배와 함께 분류되어 고배 편년에서 오류를 나타내는 경향도 관찰되었다. 이런 점에서 대부완의 각 세부 기종 을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신라토기의 한 기종으로 고배, 장경호, 단경호 등과 함께 연구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다음의 순서로 글을 작성하였다. 먼저 용어 정리를 통해 대부완과 고배를 분리하고 대부완의 형태 비교를 통해 세부 기종을 나누었다. 다음 세부 기종별로 변화양상을 정리하고 각 기종별 편년을 하였다. 그리고 각 기종별 편년을 종합하여 대부완의 변화양상을 정리하고 신라토기 안에서의 시간적 위치를 검토하였다. 여기에서 알 수 있었던 점은 돌대문대부완과 소문대부완은 서로 공반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파수대부완은 크기가 작아지며 돌대문대부완과 비슷한 형태변화를 거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배와 장경호가 부장되지 않거나 확인불 가인 중소형 고분에서 대부완을 통한 시기구분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writing is on the subject of “Pedestal bowl” and mainly focused on categorizing objects regarding shape-related differences, changes of those objects in timeline and the locations of Silla pottery in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Pedestal bowl is Bowl with Pedestal attached to it, and it is recognized in two different sorts: Handle pedestal bowl, if it has Handle and Pedestal bowl, if it doesn t have Handle. In detailed categorization, Pedestal bowl can be called differently: Notched band with Pedestal bowl, if its body has Notched band and Patternless- bowl of heels if its body doesn t have Notched band. In other Silla pottery researches previously done, the term of Pedestal bowl is mixedly used with words such as Handle- cup and Pedestal dish, which contributes more difficulties to a recognition of changes of Silla pottery in a time frame. Sometimes, errors were encountered by researchers from Chronology of Pedestal dish because Silla pottery was mistakenly put in the same category with Pedestal dish. In those reasons, each specific sorts of Pedestal bowl need to be correctly recognized and examined along with Pedestal bowl, Long-neck jar, Short-neck jar as a sub-class sort of Silla pottery. In this review, the subjects are discussed as the following order. First, Pedestal bowl and Pedestal dish are put in different groups through the exact definition of terms, and Pedestal bowl is sub-categorized through comparisons of its shapes. Moreover, changes which can be observed from objects are reviewed in regards of time and marked in period terms, chronically. Finally, Pedestal bowl is studied in terms of its changes in a time frame, the specifics of which are based on chronical records of each sort, and tried to be located in the specific time slot in a larger category of Silla pottery.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I recognized that Notched band with Pedestal bowl and Patternless-bowl of heels are normally not discovered together in many cases. Moreover, Handle Pedestal bowl was considered to have gone through some periods of its changes in shapes which were similar to Notched band with Pedestal bowl, and those changes were accompanied by its decrease in size. Also, it was also seen that Pedestal dish and Long-neck jar were not normally buried together, and uncategorized middle or small sized tombs can be recognized chronically through studies of its Pedestal bowl.

목차

Ⅰ. 서 론
Ⅱ. 대부완의 기종분류와 상대서열
Ⅲ. 종합편년과 신라토기에서 대부완의 시간적 위치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형열(Park Hyoung-Youl),성학경(Seong Hak-Gyeong). (2019).경주 월성북고분군 출토 대부완의 분류와 편년. 영남고고학, (83), 61-90

MLA

박형열(Park Hyoung-Youl),성학경(Seong Hak-Gyeong). "경주 월성북고분군 출토 대부완의 분류와 편년." 영남고고학, .83(2019): 6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