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松菊里文化의 起源 再考

이용수 175

영문명
A Rethink on the Origine of Songgungni Culture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안재호(Ahn, Jaeho)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3호, 91~12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1.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의 송국리문화는 BC.10세기경에 성립한 농경사회의 문화로서, 청동기를 사용하며 구획묘라고 하는 거대한 묘가 조영되기도 한다. 송국리문화의 기원에 대해서는 토착계설과 외래계설로 나누어져 논쟁이 이어져 왔다. 필자는 1992년에 토착계설을 주장하였으나, 그간의 연구 성과를 수용하여 양쪽의 주장을 절충하여 송국리문화의 기원을 재해석하고자 본고를 작성 하게 되었다. 송국리문화를 촉발시킨 것은 중국 周나라의 문명과 남방에서 발달한 水田농경문화의 전파였다. 첫째, 周의 요소는 製陶術인 타날기법, 도량형인 석제 저울추, 중국계 토기 底部 그리고 귀속지위를 시사하는 옹관묘 등으로서 모두 호 서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된다. 둘째, 수전도작문화의 요소는 水田ㆍ덮개가마ㆍ독립동지주건물ㆍ플라스크형의 저 장혈ㆍ절굿공이 등이다. 이상 신문화의 영향으로 송국리식토기와 창의적인 석제농공구와 석검 등이 제작되었다. 또 전기사회의 복합가족체 는 핵가족체로 분화하고, 소형화된 송국리유형의 각종 주거지가 조영되었다. 그리고 획기적인 생산력의 논농사로써 수장사회의 일면을 가질 수 있었다. 이 신문화를 전파시킨 주체는 산동에서 건너온 古越族으로 추정되고, 이들은 송국리문화를 통해서 중국의 문명을 이식하고자 노력하였으나 노동집약적이고 혁신적인 생산력을 가진 논농사는 기존의 밭농사를 이겨내지 못하였다. 그 러나 송국리문화는 주변지역으로 빠른 속도로 확산되었고, 전기문화와 송국리문화와의 혼합비율에 따라 여러 지역은 독자적인 정체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 시기는 잉여생산이 풍부하지 못하여 아직 청동기가 자체생산 되지 못하였고 사회적으로는 대형묘가 조영되지만 부장품의 생산도 빈약하였다. 그러므로 송국리문화사회는 분절사회에서 벗어난 정도였으며 이제 군장사회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는 단계 정도였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Songgungni Culture, formed in the late Bronze Age of Korean peninsula, is characterized by the increased power of chieftains, uses of bronzeware, and constructions of huge burial mounds known as Guhoekmyo. The discussion on the difference of Songgungni Culture from previous cultural forms has been divided into the view to see it as foreign influences and that to see it derived from the previous local cultures. The author suggested the latter view first in 1992 but the findings accumulated since then lead us to rethink the origin of Songgungni Culture from a perspective that conjoins these two oft-conflicting views. The Zhou Dynasty and paddy field agrarian culture in the lower area of the Yangtze River influenced the formation of Songgungni Culture give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Zhou Dynasty’s ceramic art called Beating Technique was discovered in Songgungni Culture with other artifacts such as weights made of stone, bottom parts of Chinese earthenware, and the jar coffins indicating the existence of ascribed status. Second, the excavations of paddy fields, Yunnan- style kilns, independent pillar structures, flask-shaped storage holes, and pestles suggest the propagation of the paddy field rice culture of the lower Yangtze along the coastline of the Shandong Peninsula. Under these foreign influences, Songguk-ri type potteries and other creative agricultural tools were produced. The differentiation of the previous joint family system into the nuclear produced lots of downsized dwelling areas which characterize Songguk-ri culture. And the innovation in the yielding capacity made possible by paddy fields also shows an aspect of Chiefdom settled into this area during the time. The surplus production of this period was not enough to advance towards the autonomous production of bronzeware. The increased size of chieftains’ tombs did not contain enough burial goods. Given the aforementioned findings, Songgungni Culture could be understood as an early stage of Chiefdom, just getting out of the state of fragmented society.

목차

Ⅰ. 松菊里文化 起源에 대한 論爭
Ⅱ. 松菊里文化期의 韓半島와 그 周邊
Ⅲ. 松菊里文化 속의 外來系 要素
Ⅳ. 松菊里文化의 在地系 要素와 그 性格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재호(Ahn, Jaeho). (2019).松菊里文化의 起源 再考. 영남고고학, (83), 91-125

MLA

안재호(Ahn, Jaeho). "松菊里文化의 起源 再考." 영남고고학, .83(2019): 91-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