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파형동검 등장 이전 청동기문화의 변동

이용수 240

영문명
Changes in Bronze Age Culture Before the Emergence of Lute-shaped Bronze Swords - Focusing on Weiyingzi Culture in Liaoxi area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오대양(OH-DAEYANG)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3호, 127~167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1.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魏營子文化는 遼河 서쪽의 大·小凌河流域을 중심으로 전개된 초기 청동기시대 문화이다. 연대범위는 대략 기원전 13~10세기 사이이며, 주요 특징은 초원계 물질문화의 출현, 중원계 청동예기가 출토되는 窖 藏유적, 목관묘계열의 묘 제 등으로 요약된다. 전형토기로는 삼족기계열의 취사용기로써 花邊口沿 鬲 과 무문의 筒腹 鬲 , 평저의 繩文鉢과 무문 鉢의 조합 등이 대표적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魏營子文化의 특징과 성격에 대한 기존 연구의 인식차이와 오류 등을 걷어 낸 후, 그 고유특성과 외래요소를 파악, 이를 바탕으로 해당문화의 성격 재검토 및 형성과정에 대한 시론적 접근 을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기원전 13세기 무렵 魏營子文化가 형성되는 배경 중 하나로서 초원계 물질문화의 유입을 들 수 있다. 유사한 문화내용을 보이는 주변지역, 즉 河北과 內蒙古 東南部, 阜新 및 그 이동지역에서 찾아지는 초원계 물질문화 가 山西·陝西북부지역에서도 폭넓게 확인되는 점, 중원계 청동예기가 매납된 청동교장유적의 분포상과 성격 등을 종 합적으로 고려할 때, 이들의 이동경로는 오르도스 고원지역을 경유하여 중원문화와 접촉한 세력들이 河北 동북부의 遼西回廊지역을 거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魏營子文化에는 高臺山文化계열의 토착요소가 상당수 잔존한 점이 주목된다. 高臺山文化 역시 초원계적 성격 이 다분하였던 관계로 해당지역의 잔존민들은 보다 수월하게 초원계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었을 것이다. 아울러 이들 과 영향관계에 있었던 주변지역으로서 河北과의 접경지역에는 張家園上層文化의 색채가 보다 농후한 지역집단이, 內 蒙古東南部와 遼西의 접경지에는 夏家店上層文化에 보다 친연성이 강한 喜 鹊 溝遺存類의 집단이, 遼西와 遼東의 접경 지역에는 高臺山文化의 지역집단이 진출해 있었다. 이들 모두 근 500여 년간 해당지역일대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夏家店下層文化가 소멸됨과 동시에 서쪽으로부터 유입되기 시작한 초원계 물질문화를 큰 무리 없이 받아들이 고 있다는 점에서 비록 그 배경문화는 다를지라도 상당한 수준의 친연성과 교류관계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夏 家店下層文化의 소멸 후 요서지역에 잔류하였던 일부의 토착민들은 동쪽의 高臺山文化와 혈연적·문화적 연관성이 포착되며, 바로 이들이 중원과 河北지역을 거쳐 유입된 초원계 물질문화를 선별적으로 받아들여 魏營子집단의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Weiyingzi Culture was early Bronze Age culture developed around Dalinghe and Xiaolinghe River in the west of Yoha. The period was approximately between 1300 - 1000 B.C and the culture was characterized by dominance of Material Culture of the Steppe region, relics including Zhongyuan-style bronze ritual ware, tomb system using wooden coffins, and so on. The typical type of the Culture was earthen cookware with three legs which was represented by flower-pattern decoration along the mouth (huabiankouyanli, 花邊口沿 鬲 ), patternless blown belly (tongfuli, 筒腹 鬲 ), and combined form of flat-bottom and patternless rice bowel (bo, 鉢). This study attempted a preliminary study for re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process of Weiyingzi Culture by removing differences in recognition and errors in previous studies on such themes and finding out inherent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factors of the Culture. In conclusion, one of the reasons for the formation of Weiyingzi Culture in around 1300 B.C. was introduction of Material Culture of the Steppe region, which was also found in the surrounding areas such as Hebei, southeast of Inner Mongolia, and Fuxin. In consideration of the distribu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buried ritual bronzeware in Zhongyuan and that the Material Culture of the Steppe was widely found in Shanxi and north region of Shanxi along the migration route of the Steppe tribe, it was assumed that the migration route of the Weiyingzi Culture was via Ordos Plateau, passing through Liaoxi Zoulang region in the northeast of Hebei. Weiyingzi Culture is suspected to have brought by those who contacted Zhongyuan Culture. Meanwhile, it was noted that Weiyingzi Culture has a few significant factors inherent in Gaotaishan. Since Gaotaishan culture had also strong characteristics of Steppe Culture, it was suspected that the people who remained in that area could accept Steppe Culture easily. As for the surrounding areas, community group who had strong color of Upper Zhangjiayuan Culture advanced to the borderline region with Hebei. Xiquegou-decendant community group who had more connected with Lower Xiajiadian Culture advanced to the borderline regions with southeast of Inner Mongolia and Liaoxi. In the borderline regions with Liaoxi and Liadong, community group of Gaotaishan culture lived there. People in those areas accepted Material Culture of the Steppe region which started to get in from the west without much resistance while the Lower Xiajiadian Culture that had dominated these areas for about 500 years still remained. In that aspect, there was high possibility of significant level of affinity and cultural exchange, although the background cultures were different to each other. It was found that part of natives who remained in Liaoxi area after being subjected to Lower Xiajiadian Culture had blood ties and cultural connections with Gaotaishan culture in the East. Based on that, it was assumed that they selectively accepted Material Culture of the Steppe region flown into that area via Zhongyuan and Hebei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Weiyingzi Cul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그간의 조사 및 연구현황
Ⅲ. 魏營子文化의 성격과 형성과정 검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대양(OH-DAEYANG). (2019).비파형동검 등장 이전 청동기문화의 변동. 영남고고학, (83), 127-167

MLA

오대양(OH-DAEYANG). "비파형동검 등장 이전 청동기문화의 변동." 영남고고학, .83(2019): 127-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