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남아시아 중국인 디아스포라와 화교⸱화인 학교교육의 설립과 변화: 청말 이후 1949년 이전까지

이용수 5

영문명
Chinese Diaspora in Southeast Asia and the Establishment and the Change of Chinese Ethnic Schooling Therein: From the end of the Qing Dynasty to before 1949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저자명
정은주(Eun-Ju Chung)
간행물 정보
『중앙사론』제61집, 109~162쪽, 전체 5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9,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논문은민족주의와국가정체성이싹트고성장했던청말이후중국이 공산화되기까지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 정착해있던 중국인 디아스포라 의 교육 양태를 본국 및 정착국과의 관계, 그리고 지역 중국인 사회의 맥 락에서점검하는글이다. 서구식민지배와동남아시아국가들의독립국가 체제 정립 그리고 이념적으로 양분되어가던 중국의 변화 등 역사적 여정 속에서해외중국인의디아스포라교육은국민됨과민족성, 고향, 적응, 세 대변화, 이중국적의이슈등화교⸱화인이동남아지역에서겪어온다양한 이슈들을 반영한다. 논문에서는먼저동남아시아여러국가에서근대적인중국인교육이성 립되는배경으로서19세기말이후본국중국의교육개혁의양상과해외 중국인교육시스템과연결되는양상을파악하고, 동남아시아국가들에서 실제 진행되어온 바를 기록한다. 그럼으로써 이 연구는 디아스포라 교육 의진전에투사되는동남아화교⸱화인사회의변화와더불어변화하는중 국인 디아스포라 세대의 ‘중국’과의 관계를 읽어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Chinese education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since the end of the Qing Dynasty, when nationalism and national identity sprouted and grew. I scrutinize the diaspora education in relation with the home country and also in the context of local Chinese community. Overseas Chinese diaspora education reflects various issues in Southeast Asia, including nationality, ethnicity, hometown, adaptation, generational change, and dual nationality. In the paper, as the background of modern Chinese education in many Southeast Asian countries, I discuss the aspects of educational reform in China and how they were linked to the overseas Chinese education system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record the actual progres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rea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ing Chinese diaspora generation's recognition of 'China' along with changes in Southeast Asian Chinese society projected on the progress of diaspora education.

목차

목차
Ⅰ. 머리말
Ⅱ. 중국인의 동남아 이주와 이주공동체의 형성
1. 중국인 동남아 이주 역사의 시작
2. 19세기 중반 이후의 대량 이주
Ⅲ. 중국의 근대 교육 개혁
1. 청 말 교육 개혁과 해외로의 이식
2. 공화국 건립과 교육을 통한 해외중국인 통합 정책
Ⅳ. 각 지역 화교의 대응과 화교학교의 형성 및 변화
1. 영국령 말라야: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2. 네덜란드령 동인도: 인도네시아
3. 시암 왕국: 태국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주(Eun-Ju Chung). (2024).동남아시아 중국인 디아스포라와 화교⸱화인 학교교육의 설립과 변화: 청말 이후 1949년 이전까지. 중앙사론, (), 109-162

MLA

정은주(Eun-Ju Chung). "동남아시아 중국인 디아스포라와 화교⸱화인 학교교육의 설립과 변화: 청말 이후 1949년 이전까지." 중앙사론, (2024): 109-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