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墓誌에 기록된 百濟遺民의 入唐관련 서술에 대한 검토

이용수 27

영문명
Review of the Description about the Baekje Refugees’ Moving to Tang China on the Epitaph Tablet Text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저자명
박지현(Jihyun Park)
간행물 정보
『중앙사론』제61집, 5~46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在唐百濟遺民에 관한연구에서는 그들이 남긴 墓誌가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在唐백제 유민에 관한 문헌 기록은 그 절대적인 양이 매우 적 을뿐만아니라대체로단편적이고산발적인반면, 재당백제유민묘지는 묘주 개인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상당히 구체적으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 이다. 그러나묘지에기록된내용은묘주에관한모든정보들중에서묘주 의 후손들이 묘지에 남기고 싶은 정보를 선별한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신 중하게접근할필요가있다. 묘주의후손들은자신의출세, 가문일원들의 결속, 家格의상승등에기여할수있는내용들은강조해서서술하고그렇 지않은내용들은축소하려하였다. 당은내부한이민족지배층에게관직 을 내릴 때 그들이 당의 이익에 얼마나 기여하였는지를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했다. 따라서 흑치상지처럼 당에 피해를 입혔던 인물의 묘지에서는 묘주의 입당 과정을 모호하고 간략하게 서술하는 대신 묘주가 당에게 기 여한 다른 부분-주로 묘주가 당의 변경에서 세운 군공-을 강조함으로써 가문의 정치사회적 지위를 강변하려 하였다. 반면 남생처럼 당의 고구려 정벌에 확실한 공을 세운 이의 묘지에는 묘주의 입당 과정이 구체적이고 상세하게서술되어있다. 예군과예식진, 진법자, 부여융의묘지에서는국 내 정치의 혼란상이나 당의 대외정책을 거스르는 백제의 태도 등을 비유 적으로언급함으로써그들의항복을정당화하는표현이확인되었으며, 진법자와부여융의묘지에서는실제와달리묘주가적극적으로귀부하려한 것처럼 묘사하기도 하였다.

영문 초록

Research on the Baekje Refugees in Tang China has been conducted using their epitaph tablet text (墓誌) as important data. This is because the epitaph tablet text contains information on the deceased's funeral and burial site, official posts held, genealogy, family details, and the year of birth and death. However,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epitaph tablets had been chosen by the descendants of the deceased according to their needs. The descendants tried to emphasize the contents that could contribute to their successful careers, the solidarity of family members, and the status of a family, and reduce the contents that were not. Tang China used how much they contributed to its interests as an important criterion when giving office posts to the ruling class of other states surrendered. On the epitaph tablet text of a person who had wreaked damage on Tang China, like a Heukchi Sangji (黑齒常之),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his migration to Tang China was vaguely and briefly described, the achievements he had made by acting as a Tang’s official were emphasized. On the other hand, on the epitaph tablet text of a person who made a clear contribution to the conquest of Goguryeo by Tang China, like a Namsaeng (男生),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deceased's migration to Tang China was described in detail. In this way, the Baekje Refugees tried to strengthen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us of the family. So the figurative expressions referring to the confusion of domestic politics or Baekje's attitude against Tang China’s foreign policy were used to justify their surrender and show their loyalty to Tang China on the epitaph tablet text of Ye gun (禰軍), Ye Sikjin (禰寔進), Jin Beopja (陳法子), and Buyeo Yung (扶餘隆).

목차

Ⅰ. 머리말
Ⅱ. 墓誌의 성격과 入唐 관련 기록의 의미
Ⅲ. 묘지에 기록된 재당 백제 유민의 입당 양상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현(Jihyun Park). (2024).墓誌에 기록된 百濟遺民의 入唐관련 서술에 대한 검토. 중앙사론, (), 5-46

MLA

박지현(Jihyun Park). "墓誌에 기록된 百濟遺民의 入唐관련 서술에 대한 검토." 중앙사론, (2024): 5-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