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의 형식학적 연구에 대한 검토

이용수 277

영문명
A Study the Typological Approach on the Pottery of the Neolithic Age in Korea - Basis for a methodological case of early pottery study announced since 2012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황철주(Hwang, Chul-joo)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3호, 223~25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1.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토기연구는 다른 시대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형식학적인 방법을 중시하고 있다. 그러나 형식 또는 형식론과 관련된 개념과 방법론은 다른 시대의 것과 차이가 있어 연구자들에게 많은 혼란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문제를 조금이라도 해소하고자 2012년부터 발표된 개념과 방법론을 소개,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약간 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의 형식학적 연구는 전통적 방법이라 할 수 있는 기종·기형 구분에 의한 형식학적 방법, 문양계열의 형식학적 방법, 속성배열법, 빈도순서배열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방법론적 성격에 따라 크게 상대적으로 주관적인 방법과 객관적인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주관적인 연구 방법은 주관적 해석에 기반한 변화상이 단점인 반면, 결손자료에 대한 유연성이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연구 방법은 제 3자가 동일한 결과를 얻 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인 반면, 단편적인 자료의 한계에 따라 비 검토(결손) 자료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론에 대한 대안으로 토기조성론과 같은 양식론적인 관점이 적용된 방법이 떠오르고 있다. 이 방법론은 세부적으로 형식학적인 방법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어 완벽한 대안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거시적인 관점에서 해석 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결국 한국 신석기시대 연구의 문제들은 부실한 기초자료에 기인한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기초자료의 충분한 확보와 더불어 새로운 시각과 방법론의 도입을 꾸준히 시도하고, 시행착오를 통해 조금씩 오차를 줄여나가야 할 것이 다. 앞으로도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과 정밀한 기초자료의 확보를 위한 문화재청과 문화재 조사기관들의 간절한 노력 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Study of Neolithic Age Pottery in Korea puts emphasis on the typologicall research method along with study of other ages. However, as concepts and methodology related to type or typology are different to ones of other ages, so it causes a lot of confusion among majors not specializing in Neolithic Age Pottery. Therefore, this manuscript not only brings out concepts and methodology commonly used in current academia from 2012 in order to resolve the above issue but also suggests an alternative on the issue. Formal method in recent years is classified as a typologicall method which is known as typology method in tradition and divided based on forms and shapes, affiliated pattern seriation, attributively seriation, frequency seriation.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methodological nature,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more subjective methods and more objective methods. While a disadvantage of the subjective method is change based in subjective understanding, flexibility on loss materials is an advantage. The objective method provides an identical outcome for third party, whereas it is vulnerable to loss materials by limitation of fragmentary materials. For the alternative on above methods, a stylistic method such as earthenware construction theory is emerging. It is hard to consider these methodologys perfect alternatives but very worth to understand issues on a macroscopic point of view. Finally, the issues on a study of Neolithic Age in Korea are considered results caused by insufficient baseline data. Thus, it is necessary to secure enough baseline data as well as keep trying to acquire a new point of view and methods. It is also mandatory tha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Cultural investigation desperately try to secure detailed baseline data plus attention of lots of researchers.

목차

Ⅰ. 머리말
Ⅱ. 분류체계와 개념
Ⅲ. 연구방법 사례 검토
Ⅳ. 문제점과 대안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철주(Hwang, Chul-joo). (2019).한국 신석기시대 토기의 형식학적 연구에 대한 검토. 영남고고학, (83), 223-257

MLA

황철주(Hwang, Chul-joo).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의 형식학적 연구에 대한 검토." 영남고고학, .83(2019): 223-2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