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가야권 고분 출토 무장의 유형과 전개

이용수 188

영문명
A Study on the Types and Development of Arms Excavated from Daegaya Tumuli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김승신(Seung Shin, Kim)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1호, 5~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대가야권 고분군에서 출토된 무장을 검토하여 중심지역과 주변지역 집단에서 확인되는 무기조성 및 무장양상의 변화과정을 검토하였다. 대가야권 고분군에서 출토된 무기는 크게 4단계에 걸쳐 변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하였으며 공반된 무구, 마구를 중심으로 A~F유형으로 무장유형을 세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지역에서 나타나는 단계별 무장의 변화양상은 다음과 같다. 1단계는 대가야권 내 처음으로 무장이 채용되기 시작하는 단계로 옥전집단에서는 다양한 기병유형이 돌발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양상은 김해-부산지역에서 먼저 채용되었던 기병 무장이 여러 루트를 거쳐 대가야권 가운데 옥전지역에 가장 먼저 이입되었음을 보여준다. 2단계는 대가야권 중심집단에 기병 및 보병무장이 빠르게 도입된다. 옥전집단에서 먼저 채용되기 시작한 기병무장은 고령 등 대가야 중심집단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보병 무장 역시 일정한 형식을 갖추기 시작하며 철모를 주력으로 사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3단계는 대가야권 중심지역내 유행하던 A·C·D유형 기병 무장이 대가야 주변집단에 확산되나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대가야 직접지배영역 가운데 고령과 근거리인 황강 상류 집단은 고령집단과 유사한 편제를 갖추고 있으나 신형식 무기가 빠르게 보급되지 못 한다. 경호강 유역의 생초-평촌리, 백천리 집단은 최고지배자급 고분을 중심으로 화려한 장식기병 무장이 확인되며 소규모 분묘에서는 대도 중심의 무장만 일부 확인되는 차이가 있다. 대가야와 직접 교류를 하였던 옥전, 월산리, 두락리집단은 마구에서 일부 대가야 요소가 보이나 시기 및 영향력에 따라 무장의 변동이 일어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will review the armament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s of the opposition camp to see the process of making weapons and changing the aspect of the armor found in the central and neighboring communities. The weapons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s of the main opposition camp were identified as having undergone four major phase changes, and the types of armament were divided into A-F types, which are based on common weapons and harnesses. Based on this, each region has the following aspects of the shift in armament. In step 1, arms started to be adopted in the region of Daegaya, and Okjeon group was the first. In the territory of Okjeon group, decorative cavalry arms (types A1 and A2), heavy cavalry (type B1), and light cavalry (type D) have been found unexpectedly. The types of cavalry recruited first in the regions of Gimhae and Busan show that these types were introduced in Okjeon region earlier than other territories of Daegaya. Step 2 is the period of the development of cavalry and infantry arms mainly by the central group of Daegaya region. Cavalry arms that were first introduced in Okjeon group started to be spread from the central group of Daegaya with infantry. It was found that decorative harness and heavy cavalry arms (types A and B) were used mainly by supreme rulers in Daegaya. In step 3, the decorative harness and light cavalry arms popular in the central area of Daegaya were spread to the upstream of Hwanggang River which was under the direct control of Daegaya and the middle/upstream of Gyeonghogang River. As in step 2, the central area of Daegaya remained focused on light cavalry and helmets although there were some old tomb tumuli and decorative harness as well while the surrounding areas showed somewhat different conditions.

목차

Ⅰ. 머리말
Ⅱ. 무기의 형식분류와 편년
Ⅲ. 무장의 유형과 전개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신(Seung Shin, Kim). (2018).대가야권 고분 출토 무장의 유형과 전개. 영남고고학, (81), 5-38

MLA

김승신(Seung Shin, Kim). "대가야권 고분 출토 무장의 유형과 전개." 영남고고학, .81(2018): 5-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