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남지방 목곽묘 출토 신선로형토기의 출현과 성격

이용수 149

영문명
The Emergence and Character of chafing-dish-shaped earthenware in the Wooden chamber Tomb of Yeongnam Region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이원태(Won Tae, Lee)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1호, 115~14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원삼국시대 영남지방 목곽묘 출토 신선로형토기의 출현과 성격에 주목하여 접근하였다. 그 결과 원삼국시대 영남지방 목곽묘 출토 신선로형토기는 현재 자료에 한정하면 경주와 울산지역에 집중되어 경주권역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신선로형토기의 편년은 기존의 연구 성과에 적용하면 기원 3세기 전엽에 출현하여 기원 4세기 전엽까지 연속해서존속한다. 신선로형토기의 지역별 출현양상은 기원 3세기 전엽에 울산과 김해지역에서 처음 출현하여 기원 3세기 중·후엽까지 전개된다. 반면에 경주지역은 울산과 김해지역보다 늦은 기원 3세기 중엽에 출현하지만 4세기 전엽까지 전개되고출토량도 가장 많아 신선로형토기의 중심이다. 신선로형토기의 성격은 동반유물과 목곽묘 규모를 통해 볼 때 위세품적 성격이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결국 토기라는 같은 물품의 범주 내에서도 평민의 토기와 지배층 토기는 생산이 차별화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그 가능성은 크다. 하지만 신선로형토기는 기원 4세기 전엽부터 동반유물과 목곽묘 규모도 빈약해져서 위세품적 성격이 약화되어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한편 신선로형토기는 의례용 토기의 개발, 발달이라는 당시 흐름 안에서 새롭게 개발되었는데 동반 출토된 철기류를 보더라도 비실용적인 측면이 강해 의례와 관련이 있음을 방증한다. 결론적으로 신선로형토기는 위세품적 성격과 의례적 성격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emergence and character of chafingdish- shaped earthenware found in the wooden chamber tomb of Yeongnam Region from the Early Age of Three Empires. As a result, it shows that the chafing-dish-shaped earthenware from wooden chamber tomb in Young-nam area in Proto Three Kingdoms Age was found mainly in Ulsan and Gyeongju region, based on the current data only, and developed in Gyeongju district zone. Existing study divides chronology of the chafing-dish-shaped earthenware into 4 phases. The 1st phase is in the early 3rd century A.D., the 2nd phase in the mid 3rd century A.D., the 3rd phase in the late 3rd century A.D. and the 4th phase in the early 4th century A.D.. Hence, the chafing-dish-shaped earthenware started to appear in the early 3rd century A.D. and continued to last until the early 4th century A.D. Considering the accompanied relics and the scale of wooden chamber tomb, chafingdish- shaped earthenware seems to reflect the authority of peopl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hat even the same earthenware can take different forms for the commoners and the ruling class. However, the accompanied relics and the scale of wooden chamber tomb degraded from the early 4th Century B.C. and chafing-dish-shaped earthenware weakened its representation of authority. Also, chafing-dish-shaped earthenware was newly developed along with other ceremonial earthenware. Considering the accompanied steel artifacts, they are rather unpractical to prove that they were related to ceremonies. In sum, chafing-dish-shaped earthenware seems to reflect the character of authority and ceremonies.

목차

Ⅰ. 머리말
Ⅱ. 대상자료
Ⅲ. 신선로형토기의 편년
Ⅳ. 신선로형토기의 출현과 성격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원태(Won Tae, Lee). (2018).영남지방 목곽묘 출토 신선로형토기의 출현과 성격. 영남고고학, (81), 115-141

MLA

이원태(Won Tae, Lee). "영남지방 목곽묘 출토 신선로형토기의 출현과 성격." 영남고고학, .81(2018): 115-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