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동기시대 조기 경남 평거동 유적과 연해주 시니가이문화의 관련성 검토

이용수 209

영문명
A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yeonggeo-dong site and Sinigai culture of Maritime Province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김재윤(Jae Youn, Kim)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1호, 39~85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0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평거동 유적의 토기 양상은 서북지방 요소가 강하며, 재지계로 보이는 ‘평거동식 이중구연토기’가 주요한 것으로 논의되었다. 이 토기는 구연단을 접은 발형토기이다. 하지만 평거동의 이중구연토기 가운데는 구연단을 접은 옹형토기도 확인된다. 또한 구연단을 접지 않고, 점토띠를 부착해서 만든 발형토기와 옹형토기도 있다. 이 와 함께 홑구연 옹형토기, 소형토기, 부리형 석기, 곰배괭이, 무공석도, 장타원형 갈돌, 환상 석기 등은 연해주 시니가이문화에서 확인되는 요소이다. 평거동 계통 문제가 그간 서북지방으로 주목된 것은 아직 시니가이문화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되어 자세히 살피고자 한다. 그간 연해주 학계에서 시니가이문화는 이 문화의 범위와 지역성만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 문화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토기 변화 및 상한연대 등은 재고의 여지가 보이며 이를 검토해서 평거동 유적과의 비교를 하고자한다. 그 결과 시니가이문화는 서부(내륙)와 동부(해안가)에서 시간적 흐름에 따라서 출토유물에 차이가 있다. 각 지역을 2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부 1유형은 3400년 전 무렵부터 3200년 전 까지 계속된다. 아직 신석기토기가 반출되면서 무문토기가 등장하는 단계이다. 봉상파수토기, 대형토기, 마제석검, 마제석부, 성형석부, 환상석기, 곰배괭이 등이 출토된다. 서부 2유형은 3200년 전 부터 2500년 전까지 영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하린 유적에서는 말각방형으로 석상노지와 초석시설이 확인되는 주거지가 확인된다. 즐문이 남은 돌대각목문토기와 함께 봉상파수부 토기, 발형토기, 옹형토기, 호형토기 등은 무문토기가 출토된다. 옹형토기와 호형토기는 구연부와 경부의 길이에 따라서 형식 차가 있다. 석기는 타원형갈돌, 석촉형 석기, 석창, 무공석도, 환상석기, 곰배괭이 등이다. 동부 1유형은 3300년 전부터 3000년 전에 속한다. 구연단을 접은 이중구연 옹형토기 및 점토띠를 부착한 발형토기가 특징적이다. 타제석기가 여전히 출토되면서 마제석부도 출토되었다. 동부 2유형은 3000년 전부터 2500년 전 까지 지속된다. 이 유형에 속하는 주거지에서는 장방형으로 무시설식 노지가 3기 확인되었는데, 바닥에서 초석과 단시설, 4주열 기둥구멍이 확인되었다. 마연된 홑구연 옹형토기와 경부가 길어진 호형토기가 있다. 동부 2유형 석기는 타제석기도 여전히 출토되지만 석부, 석촉형 석기, 석촉, 석창, 석도 등 마제석기의 종류가 늘어난다. 평거동에서 출토된 점토띠가 부착된 이중구연으로 발형 및 옹형토기, 점토띠를 접은 이중구연 옹형토기, 소형토기는 앞서 설명한 연해주 시니가이문화의 동부 1유형과 관련이 깊다. 홑구연 옹형토기 및 장방형 갈판, 무공석도, 곰배괭이 등도 연해주 시니가이문화의 서부 2유형의 문화요소이다.따라서 앞서 살펴본 평거동의 물질문화는 시니가이문화의 동부1유형 토기와 서부2유형 토기 및 석기가 함께확인되는 양상이다. 대략 3300년 전부터 서부경남까지 시니가이문화가 내려왔을 가능성이 있으며, 단발적이지 않았고 청동유물을 반출한 2유형까지 지속적이었을 것이다. 한편 남강 유역 대평에서 곡옥형 청동기가 출토된 바 있는데, 한국 비파형동검 이전의 청동유물일 가능성이있다. 이 유물도 평거동 유적에 안착한 시니가이문화의 물질문화가 남겨졌을 것이다. 이곳에서 확인된 연해주 시니가이문화는 강원도 아우라지 유적, 철정리, 외삼포리, 천동리, 연하리, 현암리 유적에서 시니가이문화의 서부 2유형과 동부 1유형 토기 및 서부 2유형 석기 특징이 확인되기 때문에 이곳을 경유해서 남강으로 들어왔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It has been discussed that Pyeonggeo-dong site has the Northeastern factor but the characteristics of potteries are closed to the c factor, and the native ‘Pyeonggeodong double-rimmed pottery’ were dominated. However, some potteries of BAL styled pottery as well as pot styled pottery that were characterized by its rim of pottery, made of the same techniques, were found. There are BAL styled pottery and pot styled potteries that were not made with folded rim of pottery and attached clay ribbon. In addition to these potteries, not- doble rimmed pot typed pottery, little pottery, beak styled stoneware, chipped stone hole, polished stone knife, oval pestle, disk styled stoneware, etc. are the main factors found in Sinigai culture of Maritime Province. I believe that the reason why Pyeonggeo-dong is considered as the filiation of the Sinigai culture of Maritime Province is because that Sinigai culture has been not well known. Therefore, I want to review that culture in this paper. Sinigai culture has been studied only for its regional boundary and 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needed to review the chronological change of the potteries and start period of the culture and then compare to Pyeonggeo-dong site. Sinigai culture can be divided in to two types in each region, the West and East, based on chronological order and artifacts. The West 1 type had lasted from 3,400 to 3,200 years ago when people still used Neolithic potteries and started to make MOOMOON pottery. DOLDAEMOON pottery with pattern neolithic, one handle pottery, big pottery, polished stone dagger, polished stone ax, stoneware shaped star, disk styled stoneware, chipped stone hole, etc. were used at the same timew. The West 2 type lasted from 3,200 to 2,500 years ago. This is dwelling pit of square-shaped fire pot with stone and foundation in HARIN site. DOLDAEMOON pottery with pattern neolithic, pot withwith pattern neolithic on the surface, one handle pottery, BAL styled pottery, pot styled pottery, bottle styled pottery etc. are MOOMOON pottery. There are difference in their types based on the length of rim and neck in pot styled pottery and bottle styled pottery. In terms of the stone tools, there are oval pestle, stoneware shaped arrow, polished stone spear, polished stone knife, disk styled stoneware, chipped stone hole, etc. The East 1 type had lasted from 3,300 to 3,000 years ago. The symbolic potteries of this type are pot styled pottery with folded rim of pottery, BAL styled pottery with attached clay ribbon Knapped stone tools had been continuously used while the ground axe were appeared. The East 2 type lasted from 3,000 to 2,500 years ago. When it comes to dwelling pits, there are 3 rectangular fire pit, with foundation, and 4 lined pillar holes on the ground. notdoble rimmed pot styled pottery and bottle styled pottery are also found. People used various ground stone tools including stone axe, stoneware shaped arrow, stone arrow, polished stone spear, polished stone knife and etc. in addition to the knapped tools. BAL and pot styled pottery of doble rimm wth clay ribon, pot typed pottery with folded rim, and smaller potteries are related to the East 1 type of Sinigai culture. not-doble rimmed pot styled pottery rectangular mano, polished stone knife, chipped stone hole, etc are the factor of the West 2 type of Sinigai culture. Therefore, is can be considered that the material culture of Pyeongggeo-dong is combined with the East 1 type and the West 2 type of Sinigai culture. It is assumed that the Sinigai culture came to the west Gyeongnam Provinec continuouly from about 3,300 years ago until the second type that includes bronze artifacts. On the other hand, Daepyeong site located alongside of the Nam river has Gokok bronze which can be the earlier than Korea Liaoning bronze dagger. It is possible that the Gokok bronze was also a remain of Sinigai culture.

목차

I. 머리말
II. 연구성과 및 문제제기
III. 시니가이문화의 유적과 유물
IV. 시니가이문화의 편년과 각 유형별 특징
V. 평거동 유적과 시니가이문화의 관련성 검토
VI.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윤(Jae Youn, Kim). (2018).청동기시대 조기 경남 평거동 유적과 연해주 시니가이문화의 관련성 검토. 영남고고학, (81), 39-85

MLA

김재윤(Jae Youn, Kim). "청동기시대 조기 경남 평거동 유적과 연해주 시니가이문화의 관련성 검토." 영남고고학, .81(2018): 39-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