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도타다오(安藤忠雄) 건축의 비물질적 표현 특성

이용수 196

영문명
A Study on the Immateriality at the Tadao Ando’s Works
발행기관
한국주거환경학회
저자명
김동영(Kim, Dong Young)
간행물 정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8권 제3호 (통권 제49호), 179~19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안도 타다오(安藤忠雄)의 작품을 대상으로 비물질적 표현 특성을 고찰한 결과, 본 연구의 범위 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그의 작품에서 비물질적 표현특성은 그의 건축철학인 원풍경 재생의 실현을 위한 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건축의 주된 재료로 근대건축의 유산인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형태는 가장 기본적인 삼각형, 사각형, 원 등으로 구성하는 등, 현대건축에서 가장 기본적인 물질적 수단을 이용하여 그 안에 담기는 대지내의 내외부공간에서 주변 원풍경의 자연환경과 인공환경과의 관계성을 비물질적인 표현특성을 통하여 이어가고 있다. 그러한 표현특성은 공간의 연속적인 탈경계성에 이르게 되고, 이러한 공간적체험은 본래의 개인적 자아를 성찰하게하고 물질문명에 찌든 개인의 자아를 회복하도록 안도는 시도하고있는 것이다. 투명한 재료나 직접적 동선을 계획하여 원풍경의 자연이 있는 곳에서는 자연과 공간적 탈경계성을 이루게 하고, 원풍경의 자연이 없는 곳에서는 주위의 인공환경물과 소통하도록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가능하면 직접적으로 원풍경을 느끼게 하고 불가피한 경우는 간접적으로 그곳의 빛이나 바람 등의 원풍경 요소를 체험하도록 계획하였다. 재료적 측면에서의 투명성, 은유성 등과 공간적 측면에서의 탈장소화 등은 모두가 공간의 탈경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거나 더욱 그러한 특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수법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비물질적 공간적 탈경계 특성은 내부공간의 각실 보다는 각 실을 연결하는 통로공간이나 거실공간에서 왕성하게 표현되고 있다. 건축물 종류에서는 좁은 대지의 주택이나 종교시설, 상업시설보다는 대규모의 전시시설에서 다양한 수법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지중미술관이나 유민미술관 등 지하건축물에서는 수직적인 지상의 하늘과 지상 연결통로에서 직접적으로 공간적 탈경계를 계획하거나 지하의 전시공간에서 천창을 통한 간접적인 탈경계적 표현과 미디어적 표현을 통한 탈장소화의 표현 등도 나타나고 있다.

영문 초록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mater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adao Ando’s work,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within the scope of this study. The immaterial peculiarities in his work’s are the methods which make his architectural theory: regeneration of the site’s landscape or scenery. He planned the architectures make a connection with the regeneration of around the site’s landscape or scenery to use the most of popular materials-concrete and forms-triangle, square and circle, that is modern architect’s heritage. Such immaterial peculiarities make the beyond-spatial boundary lead to reflect original personal ego and to recover personal ego who are exhausted material civilization. The site’s landscape or scenery where had the nature/artificial environment is planed to make the beyond-spatial boundary with transparent window or make the passage directly. He made the space to provide a atmosphere of the site’s landscape or scenery directly as much as possible. Otherwise, he made plans using indirect methods. On the aspect of the materials, the transparency, metaphor and the aspects of space are to make the beyond-spatial boundary or to make better such plan at all. And the immaterial peculiarities of the beyond-spatial boundary are represented at passages or livingroom than private space. In the kind of architecture, large-scale exhibition architectures were represented by various plan than the house, the religious architecture, commercial architecture of small site. The underground architecture like a Chichu Art Museum represented the beyond-spatial boundary in the ground passage with the vertical sky directly and in the underground space with splitted window indirectly. And Yu-Min Art Museum represented the beyond-site(place) with media only.

목차

Ⅰ. 서 론
Ⅱ. 건축철학 및 표현경향
Ⅲ. 사례조사 및 비물질적 표현
Ⅳ.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영(Kim, Dong Young). (2020).안도타다오(安藤忠雄) 건축의 비물질적 표현 특성.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8 (3), 179-194

MLA

김동영(Kim, Dong Young). "안도타다오(安藤忠雄) 건축의 비물질적 표현 특성."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8.3(2020): 179-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