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옮겨간 대방군과 남겨진 대방군

이용수 342

영문명
Daebang County that has been moved and left behind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공석구(Kong Seokkoo)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7號, 145~16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314년 대방군 멸망 이후의 추이를 고찰하였다. 요서 지역으로 옮겨간 대방군과 멸망한 자리에남겨진 대방군에 대한 문제이다. 대방군에 살던 주민들은 낙랑군에 뒤이어 4세기 전반 요서지방으로 옮겨갔다. 그 곳에 대방군이 새롭게 설치되었다. 이후 대방군은 전연 후연 북연시대까지존속하였다. 북위시대에 들어와 대방군은 폐지되고 대방현이 설치되었다. 대방현은 영주 낙량군소속(요령성 조양시 지역)이었다. 이후에는 이주해가서 남영주 영구군 소속(현 하북성 보정시지역)으로 존재하였다. 대방현은 명목상으로나 존재할 정도로 규모가 미미한 존재에 불과하였다. 대방현은 556년 북제 시대에 이르러 행정구역 개편으로 역사에서 사라졌다. 고구려는 대방군을 멸망시킨 이후 즉시 직접적인 행정지배를 추진하지 않았다. 이 지역에는잔존세력이 존재하고 있었다. 일부는 독자세력을 형성하면서 존재하다가 고구려에 흡수되었다. 그 세력은 지역의 특수성에 바탕을 두고서 벽돌무덤이라는 묘제를 채용하였으며, 일부 세력가는대방태수와 같은 관직을 사용하기도 했다. 한편 대방군은 멸망했지만, 이후 역사의 전개과정에서대방군 관련 인식이 기억되고, 계승되었다. 대방군 관련 관직과 작위 명칭이 고구려, 백제, 고려시대까지 사용되었다. 한반도 중북부지역이라는 대방군의 위치인식은 이후 고구려, 백제, 신라시대까지 계승되었다. 한편 전라도 남원지역의 과거 역사에 대방군을 끌어다가 편입하려는 시도가 고려시대 이후에 나타났다. 물론 잘못된 역사 인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요서 지역으로 이주해 살다가 중원의 역사 속에 용해된 대방 낙랑군 주민은 디아스포라(Diaspora)라는 관점에서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 땅에 남겨진 대방군은 그 계승인식이 후대까지이어지다가 우리 역사의 발전과정 속에 흡수되었다.

영문 초록

The situation after the collapse of Daebang County in 314 was studied. The trend of Daebang County, who moved to the Liaoxi area, was considered. Daebang County moved to Liaoxi area in the first half of the fourth century. It is a new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ater, Daebang County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period of QiánYān, HòuYàn, and BukYàn. In the Northern Wei Dynasty, Daebang County was abolished and Daebang village was established. Daebang village which existed like that, disappeared from history in 556 during the Northern Period. The Korean Peninsula, where Daebang County was located, existed after the 4th century when the remaining forces formed their own forces and were absorbed by Koguryeo. Meanwhile, Daebang County was destroyed, but Daebang County-related government posts and noble title were used in Baekje until the 6th and 7th centuries. Daebang County was award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there was a phenomenon of trying to link the history of Namwon to the old Daebanggun.

목차

Ⅰ. 서언
Ⅱ. 대방군의 연혁과 위치
Ⅲ. 옮겨간 대방군
Ⅳ. 남겨진 대방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공석구(Kong Seokkoo). (2020).옮겨간 대방군과 남겨진 대방군. 백산학보, (117), 145-169

MLA

공석구(Kong Seokkoo). "옮겨간 대방군과 남겨진 대방군." 백산학보, .117(2020): 145-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