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콘텐츠 내부요인과 현지시장 외부요인을 활용한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결정요인 분석

이용수 47

영문명
Determinants of Consuming Popular Culture Contents Based on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Environments
발행기관
한국통상정보학회
저자명
임몽로(Ren, Meng-Lu) 조혁수(Cho, Hyuk-Soo) 백설(Bai, Xue) 번영(Fan, Rong)
간행물 정보
『통상정보연구』제20권 제1호, 297~31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중국 소비자에 초점을 맞추어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종속변수(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관련 8개의 독립변수가 설정되었다. 이 중 내용 완성도, 유교적 전통요소, 현대적 감각, 출연자의 인지도는 내부적인 요인을 설명하고 있으며, 접근 용이성, 기술적 진보, 현지 정부 규제, 대중적 관심은 외부적 요인을 반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조절변수(문화적 근접성) 관련 영향력도 분석하였다.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는 중국 소비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47개의 응답 자료가 활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내용 완성도, 현대적 감각, 출연자의 인지도, 기술적 진보, 대중적 관심이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정부 규제는 오히려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상승으로 연결될 수 있었다. 문화 근접성 관련 조절효과는 제한적으로만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terminants of consuming popular culture contents with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environments. The case of Chinese consumers who enjoy Korean dramas was empirically examin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e set internal factors of consuming popular culture contents such as performance quality, confucian value, modern style, and actor popularity. External factors including accessibility, technology advancement, government regulation, and isomorphism among consumers were determined. The eight variables are independent variables in terms of the dependent variable, consumption of popular culture contents.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cultural proximity were discusse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and eight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Chinese consumers who enjoy Korean dramas. In specific, 447 responses were used to verify hypothe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founda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empirically tested by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and AMOS statistical programs. According to the empirical findings, performance quality, modern style, and actor popularity did play an important role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popular culture contents. Also, technology advancement and isomorphism among consumers may increase the consumption. Increasingly, unlike the hypothesis, government regulation can be positive to increase the consumption. Limited moderating effects could be supported by the empirical findings.

목차

Ⅰ. 서 론
Ⅱ.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 특성과 발전과정
Ⅲ. 대중문화 콘텐츠 이론적 검토
Ⅳ. 연구 설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몽로(Ren, Meng-Lu),조혁수(Cho, Hyuk-Soo),백설(Bai, Xue),번영(Fan, Rong). (2018).콘텐츠 내부요인과 현지시장 외부요인을 활용한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결정요인 분석. 통상정보연구, 20 (1), 297-318

MLA

임몽로(Ren, Meng-Lu),조혁수(Cho, Hyuk-Soo),백설(Bai, Xue),번영(Fan, Rong). "콘텐츠 내부요인과 현지시장 외부요인을 활용한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 결정요인 분석." 통상정보연구, 20.1(2018): 297-3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