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판력에 관한 실권효의 적용 범위

이용수 333

영문명
Application scope of the loss of plead right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저자명
석현수(Hyunsoo Seok)
간행물 정보
『법학논총』제36권 제3호, 135~16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후소의 당사자가 전소의 기판력을 받는 자이고 전소의 기판력 있는 법률관계가 후소에서 다시 문제가 되는 경우, 전소의 기판력 있는 판단에 반하는 사실자료 - 즉 전소의기판력 있는 판단에 반하는 결론을 가져오는 법률효과의 요건사실 - 는 후소에서 그 제출이 허용되지 않는 제약을 받게 된다. 다수설은 사실자료 중에서 전소에서 제출되지 않은 것만이 실권효의 적용대상이라고 본다. 그리고 위 다수설 중 일부 견해는 전소에서 이미 제출된 사실자료가 후소에서다시 제출된 경우 전소 기판력에 의한 제한을 받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실권효가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기판력 자체의 작용에 의한 제약을 받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사실자료에 대한 실권효의 적용범위를 전소에서 제출되지 않은 것으로 한정하는 다수설은 타당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실자료가 전소에서 이미 제출된 것이든지 그렇지 않은 것이든지, 후소에서 그 사실자료의 제출이 허용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기준은 사실자료가 전소 표준시 이후에 발생한 새로운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아니라 전소의 기판력 있는 판단에 반하는지 여부이다)이 동일하기때문에 사실자료를 전소에서 제출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분류하여 후자만이 실권효의 적용대상이라고 볼 실익이 없다. 또한 사실자료가 후소에서 제출이 허용되지않는 제약을 받는 경우 이러한 제약의 법적 성격은 기판력의 작용이고, 그 정당성의근거는 법적안정성과 절차보장이라고 할 것인데, 이러한 점은 전소에서 이미 제출된사실자료와 그렇지 않은 사실 자료 사이에 차이가 없다. 뿐만 아니라 위 다수설은 기판력의 작용인 실권효의 적용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전소에 관한 사항 중 주문에 포함되지 않은 것(사실자료가 전소에서 제출되었는지 여부)을 기준으로 삼는다는 문제점을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이유들을 검토해 볼 때, 전소에서 이미 제출된 사실자료까지 실권효의 적용범위에 포함시키는 것이 타당하다. 전소의 기판력 있는 판단에 반하는 사실주장은 - 그것이 전소에서 제출되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 모두 실권효의 적용대상에 포함된다고 봄으로써 실권효와 기판력 자체의 작용을 구분하는 등의 이론상의 복잡함을 피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소에서 제출된 공격방어방법 중 후소에서의 제출이 허용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는 기준에 관한 논의를 촉진하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공격방어방법 중 증거자료에는 실권효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영문 초록

When a party concerned in subsequent litigation is bound to res judicata and when the subsequent litigation conflicts with res judicatat, the factual material that run counter to res judicata, which by nature may bring about different conclusion to the judgment of the prior litigation, will not be permitted to be submitted in the subsequent litigation. Majority view holds that among the factual material, only the factual material that is not submitted in prior litigation may be subject to the application of the loss of plead right. Some in the majority view also claim that when the factual material that was submitted in the prior litigation was re-submitted in the subsequent litigation but was precluded by res judicata, it is not because the loss of plead right was in place but rather it is due to res judicata itself. However, the majority view of limiting the application scope of the loss of plead right of factual material to those not submitted in prior litigation is not appropriate due to following reasons: First,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a factual material is already submitted in prior litigation, since the standard (this standard is not about seeing if factual material is the new ground that came about after the conclusion of prior litigation, but seeing if it conflicts with the judgment in res judicata) that judge if factual material can be submitted in subsequent litigation is identical, there is no practical benefit in classifying the factual material into the one not submitted during prior litigation and the one submitted and viewing only the former as the subject of application of the loss of plead right. Also in the case of factual material being precluded from submission in the subsequent litigation,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factual material that was submitted in the prior litigation and the factual material that was not in that the legal nature of such limitation is by res judicata and its basis of legitimacy is in legal stability and guarantee of due process. Furthermore, when judging the application prospect of the loss of plead right which is the working of res judicata, the majority view has the problem of making as the standard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principal sentence (seeing if factual material has been submitted in prior litigation) among the particulars of prior litigation. By reviewing the reasons stated above, it is appropriate to include factual material that was already submitted in the prior litigation in the application scope of the loss of plead right. By accepting that the claim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it was submitted at the prior litigation) which counters the judgment in res judicata of prior litigation is included subject to the loss of plead right, not only does it enable escape from the theoretical complexity that separates the working of the loss of plead right and res judicata itself but it may also bring about the discussion of the standard that determines which attack-defense methods submitted at the prior litigation may be submitted in the subsequent litiga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loss of plead right is not applied in the evidence material.

목차

Ⅰ. 서론
Ⅱ. 사실자료와 실권효
Ⅲ. 증거자료와 실권효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석현수(Hyunsoo Seok). (2016).기판력에 관한 실권효의 적용 범위. 법학논총, 36 (3), 135-161

MLA

석현수(Hyunsoo Seok). "기판력에 관한 실권효의 적용 범위." 법학논총, 36.3(2016): 135-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