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반려동물에 관한 손해배상책임의 인정 및 산정

이용수 430

영문명
How to measure the Damages and Valuation for Companion Animal’s Loss?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저자명
최나진(Choi, Na Jin)
간행물 정보
『법학논총』제36권 제3호, 193~22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통적으로 동물은 물건으로 취급해왔다. 하지만, 특히, 반려동물의 경우에는 인간과 동산사이에 특별한 위치로 존재하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법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함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사람과 깊은 정서적 애착관계가 동반된 반려동물이지만, 이들의 법적 지위는 물건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타인의 불법행위 또는 수의사의 의료과실로 인하여 그 반려동물이 다치거나 사망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그 재산상 손해에 대해서만 손해배상청구권이 생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그 동물 자체의 재산상 가치는 미미한 경우들이 많다. 그래서 현실적인 비용과 법 감정, 그리고 반려동물 소유자의 정신적 고통과 비교, 형량 하여 볼 때 실질적인 권리구제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동물의 시장가치를 초과하는 치료비용과 동물의 소유자가 입은 정신적 손해배상청구권을 인정하는 민법 제752조의 2의 신설에 찬성하는 바이다. 이러한 조항의 개정에 앞서 동물의 법적지위에 대한 조문이 근거가 되어야 한다. 필자는 반려동물의 법적지위에 대하여 사람과 동일하게 권리능력을 부여해야 한다고는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물건과는 분명히 다른 특성을 가진 동물, 특히 반려동물에 대하여 인간의 권리능력과 일반적인 물건과의 중간지점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반려동물에 관한 손해배상책임의 인정 범위를 확장시킴에 있어서 제98조의 2의 신설로 무생물인 일반적인 동산과 생물인 동물의 차이점을 명확히 인식함으로써 손해배상책임의 범위 산정에 근거가 될 수 있다. 또한 교환가치를 초과한 비용과 동물의 상살시 위자료청구도 할 수 있도록 규정한 제752조의 2의 신설 안에 찬성한다. 그러나 제752조의 2의 경우에 제목을 동물에 대한 손해배상으로 일반화하고, 조항에도 “악의” 또는 “고의”라는 표현을 넣는 것이 입법목적에 더욱 타당하겠다. 1979년 뉴욕시의 민사법원에서도 반려동물은 단순히 동산으로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물건사이에 특별한 위치로 존재한다고 보아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동물은 일반적인 물건과 절대로 동일한 위치에 있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법적 지위에 대한 입장을 토대로, 반려동물과 소유자간의 특별한 애착관계의 손실에 대하여 사회통념상 이를 통상손해로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이야말로, 동물의 권리능력을 인정하지 않아 온 전통적인 개념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한 시점이고, 이제는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재고해 보아야 한다.

영문 초록

If one loses a personal belonging, such as a backpack, a watch or even a luxury diamond ring, then he or she cannot sleep well, and he might even be obsessed with the feeling of lost property-thinking about his attachment to the item or its value. This would surely be stressful. In the case of losing a family member, the stress would worsen and emotional distress could be beyond description. What about the loss of a companion animal? Would the emotional distress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loss of a family member? I believe not. Of course a person’s emotional suffering depends on his attachment to a companion pet, but if someone lost his pet in a sudden occurrence by medical malpractice or accident, the heartbreaking grief is not lower than that suffered through loss of a family member. However, under current law system, a dog or a cat is legally defined as property. A companion dog or cat is not fungible items, equivalent to other items such as a living-room sofa or dining room furniture as mere personal property. The current legal definition for companion animal inadequately and inaccurately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human and a pet. However, Civil Court, City of New York in 1979 already held that“A pet is not simply an item of personal property but occupies a special place somewhere in between a person and a piece of personal property.”Currently, despite several novel theories based upon heirloom exception, breach of contract, or special relationship in pet litigation are contended by many scholars, emotional-based recovery has not been accepted in the United States yet. Only the court of Illinois and Tennessee allowed the seeking of noneconomic damages in certain situations, but no state courts permit emotional basis compensation generally in the death or injury of companion animal suit. However, recently state courts in the United States recognized damages based on reflection on the pet’s emotional value to a owner-plaintiff. For malpractice cases, a veterinarian can easily foresee the owner’s emotional distress if something goes wrong when the companion animal visits the clinic. Also, like general medical malpractice cases for humans, a veterinarian has a duty to inform and care. I propose imposing a special duty in a veterinarian malpractice case analogous with common carrier liability. A veterinarian or a similar pet provider has a duty to care to the pet, they can have a foreseeability regarding not only an economic value but also emotional loss of the pet owner when they provide the service, because generally a pet owner will not bring his or her own pet to make get a service with them without special attachment with his or her own pet. The owner’s behavior to get medical treatment, grooming service or another related service for his or her pet is based on reliance that the veterinarian or the provider will treat the pet with duty of care. Anthropocentric focus traditionally tended toward treating animals as property. However, I believe that the pets should be dealt with as having sentimental value rather than merely property value. I do not insist a radical opinion that companion animals should be treated like people, but we ought to think about accepting the social changes for the notion and values to the owner of their pets. Thus, enacting new articles such as art. 98.2, art. 211, and art. 752.2 in Korean Civil Law will be able to extend available legal remedies for owner s non-economic damages for animal loss. In pet litigation, seeking emotion-based damages is acceptable for pet owners through common sense. It is time to move forward and acknowledge that a companion animal is not merely property. It’s time to make a legal ground for a social change.

목차

Ⅰ. 서론
Ⅱ. 반려동물의 법적 지위
Ⅲ. 미국의 반려동물에 관한 손해배상책임의 인정 및 산정
Ⅳ. 반려동물 소유자가 입은 비재산적 손해배상에 관한 입법 논의
Ⅴ.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나진(Choi, Na Jin). (2016).반려동물에 관한 손해배상책임의 인정 및 산정. 법학논총, 36 (3), 193-224

MLA

최나진(Choi, Na Jin). "반려동물에 관한 손해배상책임의 인정 및 산정." 법학논총, 36.3(2016): 193-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