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를 그리고 책을 보는 사람들

이용수 21

영문명
Readers ‘scaning’ poem and ‘capturing’ text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정문선(Jung Moonsun)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6권 제2호, 349~37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학은 특유의 지적 포즈와 교술적 취향으로 인해 지금까지 그 전통의 가치를 고수하고 있는 몇 안되는 장르 중 하나이다. 이는 문자문화 특유의 엄정성에서 비롯한 것이지만, 이러한 보수성이야말로 문자문화의 한계를 드러내는 일이기도 하다. 우리의 문학교육 또한 ‘유희’이기 보다 ‘의의’여야 한다는 강박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오늘날 텍스트 교육이 갖는 고유의 기능을 부각시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산재하는 문화 텍스트를 누리고 수용하는 데 구체적으로 기여하는 교육의 체계를 마련하는 일이 필요해진 것이다. 이미지는 대상화와 객관화의 미학이다. 따라서 이미지로 시를 쓰는 화자는 일정 거리를 통해 흥분하지 않고도 ‘제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시된 텍스트의 조건 기호들은 수용자의 기억과 경험으로 걸러져 재현의 언어인 이미지- 즉, ‘도상의 기호’로 인지된다. 특별히 시적 판타지는 압축과 생략, 전치와 유추 등을 통해 이미지의 효과를 배가하며 각 시대마다 문화적 흐름에 발맞추어 변신을 주도해 왔다. 산업화시대의 단순 매개로서 ‘대리’의 기능을 담당했던 이미지는 이제 스피드한 정보화 시대의 주체로 문화 컨텐츠 생산성의 ‘기준’이 되고 있다. 시의 시대가 끝난 것이 아니라 시적 판타지가 너무 잦아진 시대가 되어가는 중이다. 이에 시적 상상력으로서의 이미지를 통해 먼저는, 오늘 날 세분화된 문화 텍스트의 ‘해석 기술’을 적용하는 일, 그리고 문화 컨텐츠를 선택하는 대중들을 위한 ‘텍스트 교육안 을 추론해 내는 일이 동시에 필요하다. 오늘날 대학의 교육은 이러한 현장의 수요에 귀기울여야 할 때가 되었다. 이렇게 문학이 문화로, 산업으로, 경계를 허물고 컨텐츠화 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통해 경계로서의 이미지 교육은 고통스러운 탈피의 과정을 거쳐 문화 텍스트 전체의 기준이며 잣대로서의 체계를 마련하는데 가장 시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Literature is one of few genres sticking to traditional values. Although this is due to the strict fairness, the unique nature of the literal culture, such conservativeness reveals the limitation of the literal culture at the same time. Our literal education has not been free from the compulsion that the literal education should not be any amusement but be something meaningful. This is why we need to emphasize on the unique functionalities of the text education these days. We need an educational system by which the cultural text can be accepted, understood, and communicated adequately. By the effectiveness of the Image, we are able to be free from the psychological compulsion that the text should have any meaning. Now, the text is at the starting point for the independence from the ‘consciousness of meaning, the intelligence’. This point is the significance and the outcomes of th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works. Moreover, this dissertation expects that the techniques and the forms of Korean professors should be re-evaluated as the ‘technique of alternatives’ not as the ‘technique just assuming airs’. The Image has become the ‘standard’ of cultural contents productivity, deviating from just the ‘proxy’ role. The poem era has not ended, but rather the poetic fantasy is needed frequently. So, it is required that the Image, the poetic imagination, should act as both an ‘interpretational technique’ for various cultural texts and an ‘system of text education’ for the people selecting cultural contents. Now it is the time the university education should recognize such demand of the actual cultural field. It is expected that the Image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making the standards and measurement of the hole cultural texts in the most poetic way, after painful breaking away related traditions. This would be possible by the various trials where literature becomes a culture or a business with relevant contents, tearing down any obstacles or boundarie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문선(Jung Moonsun). (2012).시를 그리고 책을 보는 사람들. 교양교육연구, 6 (2), 349-375

MLA

정문선(Jung Moonsun). "시를 그리고 책을 보는 사람들." 교양교육연구, 6.2(2012): 349-3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