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프랑스 정보공개제도에 관한 고찰

이용수 393

영문명
A Study concern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Legislation of France
발행기관
한국행정법학회
저자명
정관선(JUNG Kwanseon)
간행물 정보
『행정법학』제18호, 145~17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국민의 알권리를 확대하고 국정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1996년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을 제정·공포하고, 1998년 1월 1일부터 시행하였다. 이후 공개로 분류된 정보는 국민의 청구가 없더라도 사전에 공개하도록 개정하는 등 정보공개제도는 입법과 판례를 통해 수정·보완되면서 발전하고 있다. 한편 프랑스는 정보공개제도를 행정문서 접근을 자유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행정문서접근의 자유를 감시하는 역할을 하는 독립행정위원회를 두고 있다. 정보에 대한 모든 사람의 권리는 행정문서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을 규정한 「공중·행정관계법전」· 제3권의 규정을 통하여 보장된다(제L300-1조). 행정 즉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서비스의 임무를 담당하는 공법상 또는 사법상 법인은 이들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행정문서를 온라인상에 게시하거나 공개를 신청한 자에게 전달하여야 한다(제L311-1조). 따라서 이 기관들은 행정문서 접근권이 행사된 해당 문서를 온라인상에 게시함으로써 공개의무를 다할 수 있다. 이는 2016년 디지털공화국법에 의해 도입되었다. 만약 관계 행정기관이 행정문서 공개를 거부할 경우 행정문서접근위원회(CADA)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으며, 이의제기 후에는 행정법원에 제소할 수 있다. 프랑스 정보공개제도에서 가장 주목할 것은 행정문서접근위원회의 역할이다. 행정문서접근위원회는 1978년 정보공개법을 통해 접근권(droit d’accès)의 실행을 보장하기 위하여 신설되었다. 독립행정청의 지위를 가지는 이 위원회는 정보공개에 관하여 크게 세 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첫째 행정문서 접근에 대한 자유 및 공공정보 재활용을 관리 감독한다(제L340-1조). 둘째 행정기관의 행정문서 공개 거부결정에 대한 소송 전 불복수단으로서 이의신청에 대한 의견(avis)을 제시한다(제L342-1조). 셋째, 행정문서 접근권 실행을 위하여 행정기관으로부터 요청받은 자문(conseil)에 응한다(제R342-4-1조). CADA의 의견 및 자문을 행정기관이 폭넓게 수용함으로써 CADA는 행정작용의 투명성을 감시하며, 더 나아가 행정문서 접근권에 관한 법령 규정의 개정과 이 권리의 행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정부에 제안할 수 있다(제R342-5조). CADA의 의견에 법적 구속력이 인정되지는 않지만 「공중·행정관계법전」은 신청 당사자와 함께 CADA의 의견을 통보받은 행정기관에게 1개월 내에 답변을 위원회에 통보하도록 규정함으로써 CADA이 실효적으로 행정문서 접근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2016년 디지털공화국법 제13조에 따라 행정문서접근위원회는 적합 의견 목록을 정기적으로 공개하도록 함으로써 행정문서 접근권 행사를 유용하게 하였다. 프랑스 입법례를 통한 시사점이 우리나라 정보공개제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Korea enacted and promulgated the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in 1996 to ensure people’s rights to know and the transparency of the operation of state affairs, and the Act entered into force on 1 January, 1998. Since then, the Act and relative legislation have been updat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dditional regulations and rulings, e.g. the amendment which compels public institutions authorized to do so to disclose information classified as information to be disclosed to the public even when no request for information disclosure is made. France, in the meantime, understands the access of administrative docu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freedom and has run the Independent Administrative Authority which plays a role in monitoring the freedom of access to administrative documents. People’s rights to information are guaranteed by the provisions in Code des relations entre le public et l’administration in which free access to administrative documents is stipulated(Article L300-1). Public administration, or the state,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corporations and/or private juristic persons in charge of public services shall post the administrative documents which these institutions hold or shall deliver the documents to those who request for disclosure. Thus, public institutions complete their public duty by posting the relevant documents online where access to administrative documents has been exercised. This was introduced by the LOI n° 2016-1321 du 7 octobre 2016 pour une République numérique. When an administrative institute refuses to disclose administrative documents, the applicant may complain to the ‘Committee on the Administrative Document Access’(CADA) and may file a complaint with the Administrative Court after the complaint to the CADA. The bottom line of the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s the CADA and its role. The CADA was introduced in the ‘1978 Information Disclosure Act’ in order to guarantee the exercise of rights to access (droit d’accès). The Committee, which has the status of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authority, plays three major roles in the disclosure of information; first,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freedom to access administrative documents and the recycling of public information(Article L340-1); second, the opinion upon the objection as a means of disapprove of the administrative institutions’ decision to refuse to disclose the administrative documents before filing the case(Article 342-1); third, response to the requests of administrative institutions for advice in order to exercise of rights to access to administrative document(Article R342-4-1). By broadly accepting the opinions and advice of the CADA, the CADA monitors transparency in administrative actions, and may further propose to the government any action that facilitates the exercise of access to administrative documents and the revision of statutory regulations concerning the right(Article R342-5). The opinions commented by the CADA are not legally binding, but the Code des relations entre le public et l’administration (Livre 3) stipulates that administrative bodies notified of the opinions of the CADA along with the applicant shall notify the CADA of their answers within a month so that the CADA effectively monitors access to administrative documents. In accordance with Article 13 of LOI n° 2016-1321 du 7 octobre 2016 pour une République numérique, furthermore, the CADA made it useful to exercise access to administrative documents by requiring regular disclosure of the list of appropriate opinions. I hope that the implications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legislation of Franc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legal system upon information disclosure of Korea.

목차

Ⅰ. 서론
Ⅱ. 프랑스의 정보공개법의 연혁
Ⅲ. 행정문서 접근권의 내용
Ⅳ. 시사점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관선(JUNG Kwanseon). (2020).프랑스 정보공개제도에 관한 고찰. 행정법학, (18), 145-173

MLA

정관선(JUNG Kwanseon). "프랑스 정보공개제도에 관한 고찰." 행정법학, .18(2020): 145-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