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용역(서비스) 제공계약의 보험상품성 판단기준에 관한 소고

이용수 53

영문명
A legal analysis on standard of judgment of recognition of insuranceproduct for contract of service supply
발행기관
한국보험법학회
저자명
박세민(Park, Se Min)
간행물 정보
『보험법연구』제14권 제1호, 47~7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보험의 정의가 상법 보험편이나 보험업법에서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보험상품이 무엇인가를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보험업법은 보험업을 경영하기 위해서는 영업종목별로 금융위원회의 허가를 얻도록 하고 있고 이에 위반하면 형사처벌이 부과되기 때문에, 보험상품이 무엇인가를 이론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 판례가 보험사업성 판단을 위한 기준으로 내세우고 있는 ‘그 사업의 명칭이나 법률적 구성 형식에 구애됨이 없이 그 실체 내지 경제적 성질을 실질적으로 고찰해야’한다는 것은 해당 사업이 단체 내에서 위험의 이전과 분산 기능을 가지는지 여부 및 그러한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 그것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 주무부서의 허가 등 공법상의 감독과 규제의 필요성이 있는가 여부를 따져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험업법 조항에 없는 ‘주된 목적’ 기준을 새롭게 제시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하다. 금전적 손실 보장을 위한 것이 아니고 서비스 자체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해도 그로 인해 위험의 이전과 분산 기능이 작동되며 여기에 보험업법에 의한 감독 및 규제의 필요성이 인정된다면 그 서비스 제공계약은 보험계약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것이 대법원이 그간 취해왔던 실질적 판단 방식과 부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법적 구속력 있는 서비스 제공으로 인해 위험의 이전과 분산이 가능하며 그 서비스가 다른 서비스에 부수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고 독립적으로 제공되면서 여기에 위험의 이전과 분산 기능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보험업법 적용의 필요성이 인정된다면 해당 용역제공 계약은 보험상품으로 해석함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영문 초록

Considering the fact that concept of insurances are not clearly defined in the Insurance Business Law and the Insurance Section of the Commercial Law, it is critical to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insurance products. The Insurance Business Law stipulates that a permission from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is required for each business category in order to operate an insurance business and its violation is subject to criminal penalt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the theoretical analysis of the definition of insurance products. In the judicial precedents, the criterion for insurance products is ‘the substantial consideration of the true nature or economic properties of a business regardless of its name or legal composition’.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ether the business is capable of transfer of risks or distribution of risks, and if it does, whether it is necessary to have the supervision and regulation under public law, such as the permission from the competent department, in order to ensure they function properly. It is not reasonable to newly come up with a criterion of ‘main purpose’, which is not stipulated in the Insurance Business Law. Even if a business is to supply a service itself rather than a product which guarantees a financial loss, if such service has both roles of transfer of risks and of distribution of risks and it is found to be necessary to have the supervision and regulation under public law, the corresponding service supply agreement should be considered an insurance product.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a service supply agreement as an insurance if the corresponding service, which is legally bound, allows both transfer of risks and distribution of risks and this service is provided independently, not incidental to the other services, and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Insurance Business Law for the proper functioning of the transfer of risks and distribution of risks.

목차

Ⅰ. 서 론
Ⅱ. 대법원의 판단 기준
Ⅲ. 대법원 판례 비판
Ⅳ. 보증연장 서비스의 보험사업성 인정 문제
Ⅴ.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세민(Park, Se Min). (2020).용역(서비스) 제공계약의 보험상품성 판단기준에 관한 소고. 보험법연구, 14 (1), 47-71

MLA

박세민(Park, Se Min). "용역(서비스) 제공계약의 보험상품성 판단기준에 관한 소고." 보험법연구, 14.1(2020): 47-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