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형사정책적 관점에서 수사기관의 피의사실공표에 대한 소고

이용수 371

영문명
A Study on the Publication of Facts of Suspected Crime of the Investigation Agency from the Viewpoint of Criminal Policy Perspective - Through comparison with Germany
발행기관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저자명
이원상(Lee, Won Sang)
간행물 정보
『법학논총』제26권 제3호, 207~23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수사기관의 피의사실공표와 관련된 문제가 다시금 떠오르고 있다. 한국은 다른 주요 선진국들과는 달리 형법에서 수사기관의 피의사실공표 행위를 별도로 처벌하고 있다. 다만, 피의사실공표죄가 도입된 이후로 해당 죄가 적용되어 처벌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워 사실상 사문화되어 있는 조문이라고 하겠다. 그런데 근래 들어 검경 갈등과 정치권 갈등으로 인해 피의사실공표죄의 적용여부가 다시금 사회적 논쟁이 되었다. 피의사실공표죄에 대한 논의는 이미 오래전부터 있어왔고, 이미 많은 학자들이 논문을 통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하여 왔다. 문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피의사실공표죄가 적용되지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형사정책적 관점에서 수사기관의 피의사실공표행위와 피의사실공표죄의 위법성을 조각시킬 수 있는 공보준칙에 대해서 독일의 체계를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따라서 언론에 의한 피의사실공표는 주요 쟁점으로 삼지 않았다. 형법 제126조의 피의사실공표죄의 주체는 수사기관이고, 적용시점은 수사기관이 범죄사실을 인지한 후부터 기소이전까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언론 등에 의한 피의사실공표를 제한하기 위한 규정이 아니며, 공소제기 이 후 수사기관에 의한 피의사실공표 행위도 그 처벌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러나 수사과정에서 예외적으로 피의사실을 공표하는 경우가 있다. 간혹 특별히 법률규정에 의한 경우가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검찰이나 경찰의 훈령에 의한 경우이다. 다만, 수사과정 가운데 수사기관이 피의사실공표를 하는 경우는 예외적인 상황이므로 그 범위를 매우 좁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논쟁의 중심에 있는 예외 기준인 공보준칙에 대해서 한국 법무부 공보준칙과 독일 공보준칙을 비교해서 살펴보았다. 한국의 공보준칙은 상세한 반면 사실상 예외적인 범위가 넓었고, 독일의 공보준칙은 그 반대였다. 결과적으로 형사정책의 관점에서 피의사실공표죄에 대한 현실적 개선책으로써 규범력을 상실한 피의사실공표죄를 공무원 비밀누설죄와 통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사실상 사문화된 피의사실공표죄 적용이 힘들다면 명예훼손죄나 공무원 비밀누설죄의 적극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피의사실공표죄의 예외 경우를 극히 제한하는 공보준칙을 마련하는 것을 제시해 보았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해당 문제는 계속해서 제기될 수 있으므로 꾸준한 논의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argument that Publication of Facts of Succeeded Crimes should be actively applied has long been around. However, the regulation has rarely been applied so far because citizens right to know and the press right to report is also important. Moreover, the investigative agency was passive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regulation because it is a matter of self-punishment for its own mistakes. In the meantime, recent problems involving the former justice minister have brought criminal charges back to the public eye. In addition, the Justice Ministry revised the existing Rule for Disciplinary of Information Contingering Investments more strictly, criticizing the media for violating the public s right to know and checking the investig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considered the problem of Korea s Publication of Facts of Suspended Crime through comparison with Germany. It is not because Germany is superior here that it has taken Germany as a comparative target. At least in Germany s system, the Publication of Facts of Suspected Crimes is not causing much trouble. As a result, Article 126 of the Criminal Law is not really applied in the matter of the Publication of Facts of the Investigation Crimes, and it is not easy to apply in the future due to structural and systematic problems. Therefore, it would be possible to consider how to incorporate Articles 126 and 127 of the Criminal Code into legislation. At the same time, the Publication of Facts of Suspended Crime will be able to guarantee the investigative agency s responsibility by strengthening its inspection and parliamentary monitoring functions by higher authorities. It also considered applying the provisions of Articles 127 and 307 of the Criminal Law to achieve the purpose of criminal punishment, even if Article 126 of the Criminal Law is not applied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It also proposed to secure the normative power of the criminal code against the Publication of Facts of Suspended Crimes by restricting and clarifying the contents of the Rule for Disclosure of Information Concerning Ongoing Investigations, which are being excluded from Article 126 more. In this case, media coverage of Facts of Suspended Crimes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and citizens right to know can be reduced relatively compared to the present, but on the contrary, the principles of human rights and criminal law of suspects and others can be more protected. However, it is always open to change with the social atmosphere, feelings of law of citizens, and changes in the legal system. Thus, the two areas of tension will continue in the future, so efforts to find a reasonable balance will continue.

목차

Ⅰ. 서론
Ⅱ. 수사기관의 피의사실공개와 연관된 주요 쟁점들
Ⅲ. 형사정책적 관점에서 피의사실공표죄의 이해
Ⅳ. 독일과 한국의 공보준칙 비교
Ⅴ. 형사정책적 관점에서의 소견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원상(Lee, Won Sang). (2019).형사정책적 관점에서 수사기관의 피의사실공표에 대한 소고. 법학논총, 26 (3), 207-234

MLA

이원상(Lee, Won Sang). "형사정책적 관점에서 수사기관의 피의사실공표에 대한 소고." 법학논총, 26.3(2019): 207-2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