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강유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지역적 연계망 검토

이용수 337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settlements Focused on region network of the Bronze Age settlements in Han river area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김현준(Kim Hyunjoon)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5號, 217~25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강본류역과 북한유역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취락 중, 일정 정도의 규모가 되는 근접한 거리에 위치한 취락을 대상으로, 마을의 구성요건(주거지, 환호, 수장의 거처, 생산시설, 묘제)을 토대로 취락의 특징을 검토하여 취락간의 지역적 연계망을 상정 및 분석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지역적 연계망에 대한 분석을 함에 있어, 집단의 리더를 중요한 요소로 파악하였다. 김포 양촌 취락은, 분산된 취락으로 단위별로 서로 구조화된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소사동유적과 그 주변 취락(용이·죽백동·현촌유적), 양교리 일대 유적, 그리고 거례리·용암리·원천리 유적 역시 그 일대의 중심이 되는 취락을 中心으로 서로 네트워크가 잘 이루어진 구조로 파악되었다. 이들 취락의 유사점은 서로 1㎞ 내외의 왕래할 수 있는 정도의 가까운 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두 5개 영역의 취락군의 기능적 네트워크를 검토하였는데, 이 중 2가지 측면에서 영역별로 흥미로운 점이 관찰된다. 첫째, 2개 영역(소사동→용이·죽백동, 거례리→용암리)에서 한 곳의 초기 집단이 그 주변에 영향을 끼친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는, 초기 정착민이 문화를 발전시키면서 인구가 증가하여 주변 집단의 번성을 자극하는 예가될 수 있겠는데, 소사동 일대와 거례리 일대가 해당된다. 둘째, 분산된 영역에 주거군이 다수 분포하는 경우인데, 양교리, 양촌, 당동리 일대 유적이 해당된다. 취락의 규모로 보았을 때, 양촌>양교리>당동리순으로 볼 수 있지만, 각 영역별로 체계적인 구조를 이루는 취락을 검토했을 때는, 양교리>양촌>당동리순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양촌 유적이 수장의 지도 아래, 가장 체계적인 취락의 시스템을 이룬 것으로 파악하였는데, 광장, 작업전용 공간, 공간활용부지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취락의 구조 체계를 이룬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features of structure settlements inBronze Agein Han·Northriver area in according to region network area. This paper’s main research method is a facility of settlement for example dwelling site, surrounded with ditches, ware house, tombs, settlement’s leader. In making the analysis of these regional links, group leaders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Yangchon Village in Gimpo is a dispersed village with a structured organization. I identified that Sosa-dong, Yanggyo-ri sites in Ansung Creek and their surrounding settlements(Yongyi, Jukbaek-dong, Hyunchon relics), and Georye-ri, Yongam-ri and Woncheon-ri in north river were also well-connected.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villages consist of a close distance of about 1 kilometer to each other. The functional networks in five of these areas were reviewed, and interesting points were observed for each area in two aspects. First, we considered cases where an early group of one site had an effect on its surroundings in two areas (in the area of Sodong and Georye-ri). This is an example of how early settlers flourished the culture of different groups as the population grew and moved around. Second, the multiple distribution of residential units in the dispersed areas includes relics from Yanggyo-ri to Yangchon to Dangdong-ri. Among them, it was found that the remains of Yangchon relic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head, had the most systematic settlement structure. In addition, the structure system of the village was well establish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square, work space, and space utilization site.

목차

Ⅰ. 머리말
Ⅱ. 시기구분 검토
Ⅲ. 지역적 단위 취락의 연계망 분석
Ⅳ. 연계망 취락의 분석 및 고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준(Kim Hyunjoon). (2019).한강유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지역적 연계망 검토. 백산학보, (115), 217-258

MLA

김현준(Kim Hyunjoon). "한강유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지역적 연계망 검토." 백산학보, .115(2019): 217-2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