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산성을 통해 본 조선후기 축성사

이용수 530

영문명
History of the fortific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Analysis of Bukhan mountain Fortress - Focusing on the wall-related facilities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김도연(Kim Doyeon)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5號, 39~7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북한산성은 1711년(숙종 37) 三軍門의 군사를 동원하여 축성하였으며, 조선후기 발달된 축성기술을 잘 보여준다. 하지만 고고학적 조사사례가 적어 체성 이외의 성벽관련시설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발굴조사가 진행된 배수시설 치성 墩臺 등 성벽관련시설을 중심으로 축조수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남한산성 강화산성 수원화성 지방 산성과 비교하여 시기에 따른 축조기술의 변화와 중앙의 기술이 지방 산성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북한산성이 갖는 축성사적 위치를 도출하였다. 배수시설은 대체로 유사한 형태를 보이면서도 암반층을 굴착하여 성벽 하단부에 수구를 조성하고 있어 지형을 고려한 발달된 축조기술을 볼 수 있다. 치성은 이전보다 길게 돌출되는 변화가 보이며, 도성과 그 주변을 조망할 수 있는 높은 산 정상부에 배치되었다. 돈대는 성벽과 결합된 형태로 나타나며, 조선후기 중국 城制의 영향으로 강화도 일대에 도입되어 수원화성의 공심돈으로 발전하는 과도기적 요소로 이해할 수 있다. 1716년(숙종 42) 지방에 수축된 상당산성에서는 지형에 따라 체성의 높이가 다르게 나타나 북한산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기술의 전파는 전문 석공집단의 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북한산성은 조선후기 축성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에 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Bukhan mountain Fortress was built in 1711(37th year of King Sukjong s reign) by mobilizing the military of Samgunmun, and it shows the developed fortification technology of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few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case have resulted in insufficient research on wall-related facilitie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fortification techniques focusing on the wall-related facilities such as drainage system, guard platform and Dondae. In addition, it also reviewed the influence of the changes in the fortification technology over time and the capital s technology on the local mountain fortress in comparison with Namhan mountain Fortress, Kanghwa mountain Fortress, Suwon Hwaseong and local fortresses. Through this, the position of Bukhan mountain Fortress in the fortification history was derived. The drainage systems generally similar in form. but used an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with consideration of the terrain to create a water pit at the bottom of the castle wall by excavating the bedrock. Guard platform has more protruding shape as compared to before and has been placed on top of the ridges where people can see the capital city and its surroundings. Dondae has a form of combined castle wall. This is influenced by the Chinese fortification technolog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can be understood as a factor in the transition period that was introduced around Gwanghwado and developed into Gongsimdon in Suwon Hwaseong. Sangdang mountain Fortress built in 1716(42nd year of King Sukjong s reign) have different heights of castles depending on the terrain, which i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Bukhan mountain Fortress. The spread of these techniques is closely related to the emergence of masonry specialist group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Bukhan mountain Fortress h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sitions in the history of fortific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목차

Ⅰ. 머리말
Ⅱ. 북한산성의 성벽관련시설
Ⅲ. 조선후기 성곽의 성벽관련시설
Ⅳ. 북한산성의 축성사적 위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연(Kim Doyeon). (2019).북한산성을 통해 본 조선후기 축성사. 백산학보, (115), 39-73

MLA

김도연(Kim Doyeon). "북한산성을 통해 본 조선후기 축성사." 백산학보, .115(2019): 39-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