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의 공익적 기능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 운영방향

이용수 702

영문명
A Study on Multiplex Culture Spaces of Developing Directions to Activate the Culture of Public Interest’s Functio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이진영(Lee Jinyeong) 김면(Kim Myou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0권 1호, 215~23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1세기 들어 용도 폐기된 유휴공간을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하는 형태가 부각되면서 유산적 가치가 큰 복합문화공간이 많이 생겨났다. 그러나 복합문화공간에서 ‘복합’이란 단어와는 다르게 여러 장르의 예술이 융합되어 공연 및 전시되고 있지 않고 있다. 복합적인 공연이 아닌 한 공간에 공간을 분리하여 예술이 각각 전시 및 공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유휴공간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국내외 사례를 비교하여 해외 복합문화공간과 국내 복합문화공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가장 큰 차이점으로 여러 예술장르가 같은 공간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과 문화의 공익적 측면이 해외의 사례보다 미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내 또한 유산적 가치가 큰 복합문화공간이 많이 생겨났다. 그러나 예술가들 간 소통의 기회나 일반 대중들이 여러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았다. 창작자 간 소통을 통해 교류할 수 있도록 그 공간을 만들고 예술가들이 협업할 수 있도록 ‘협업공모전’을 제안 하였다. 결론으로 해외의 복합문화공간과 우리나라 복합문화공간의 다름을 바탕으로 창작자 간 네트워크를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복합문화공간에 예술가들을 유입시키는 것이 복합문화공간이 앞으로 더 발전되는 방향이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In the 21st century, since the use of abandoned idle spaces as a complex cultural of spaces were magnified and complex cultural of spaces with high heritage values have been created a lot. However, unlike the term complex in the complex culture of spaces, the arts of various genres are not exhibited into collaborating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Apart from the complex performances, the space is divided into one space of performance and arts are exhibited separately.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domestic and overseas examples of difference between the complex culture of spaces in Korea and the complex cultural of spaces from overseas. The biggest difference is that many art genres are not made at the same space and the public interest aspect of culture is less than that of foreign countries. In Korea, there are many complex cultural spaces with high heritage value. However, there was not much opportunity for communication among artists or for the general public to enjoy various arts. We proposed a Collaborative Competition so that artists can collaborate each other and create the space. In conclusion, in the base of difference between the complex culture of spaces from overseas and domestic, to create a function of network among artists and to bring artists into complex culture of spaces will b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복합문화공간과 유휴공간
2.1. 복합문화공간의 개념
2.2. 유휴공간의 개념
3. 국내외 유휴공간 활용 운영 프로그램 사례조사
3.1. 모마 ps1(MoMa ps1)
3.2. 프리쉬 라 벨 드 메(Friche la belle De Mai)
3.3. 문화역서울 284
3.4. 청주 연초제조창
4. 사례 비교 및 분석
4.1. 모마ps1과 문화역서울 284
4.2. 프리쉬 라 벨 드메 와 청주 연초제조창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영(Lee Jinyeong),김면(Kim Myoun). (2018).문화의 공익적 기능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 운영방향. 문화와융합, 40 (1), 215-238

MLA

이진영(Lee Jinyeong),김면(Kim Myoun). "문화의 공익적 기능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 운영방향." 문화와융합, 40.1(2018): 215-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