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국유사> 진성여대왕 거타지 조 해석의 새로운 시각

이용수 293

영문명
New Analysis of Samguk Yusa(三國遺事) Queen Jinseong Geotaji(眞聖女大王 居陁知) Writings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신선혜(Sin, Sun Hye)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51輯, 203~22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국유사 진성여대왕 거타지 조는 진성여왕대의 혼란상을 보여 주는 왕거인, 거타지 설화로 구성되어 있다. 두 사례에 설화적 요소가 다분한 만큼 이에 대한 초기의 연구는 주로 국문학적으로 접근하였지 만, 진성여왕대의 사회상에 대한 보완자료로서 역사학적으로 연구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왕거인과 거타지를 각각 왕경의 상층민, 지방의 하층민으로 규정하여 본 조목이 진성여왕대 왕실에 대한 대내외적 반발을 상징한다고 보거나, 특히 거타지의 경우 지방의 토착 신앙 혹은 변질된 불교에 대비된 정통 불교 세력을 상징한다고 파악하 였는데, 이러한 시각들에는 왕거인이 大耶州의 隱者로 표현된 삼국사 기의 기록과 거타지가 良貝의 무리로서 왕권을 대변하는 존재라는 점에 주목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즉 왕거인 설화는 해인사를 중심으로한 진성여왕대 왕실의 불교성향(혹은 불교정책)에 대한 大耶州 사람들의 반발을, 거타지 설화는 앞선 반발들에 대한 무마와 僧政의 문란 등에 대한 俗權의 개입을 정당화하고자 부정한 승려가 왕의 군사로 설정된 속권에 의해 처단된다는 내용으로 형성된 것이다. 진성여왕대의 왕실과 불교계에 대한 반발을 의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두 설화의 채록시기는 진성여왕대 이후로 생각되는데, 왕거인의 경우는 대야주의 후백제 함락 이후, 거타지의 경우는 왕건의 불교계 재편 시기와 관련하여 이해할 수있다. 이와 함께 삼국유사에 두 설화가 채록된 것은 신라 불교의 고려 로의 연속성과 함께 고려초 불교계 재편의 의의를 부각시키기 위함으로 파악된다. 이렇듯 본 조목은 나말여초 시기 국가와 불교계의 관계를 보여준다는 시각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Samguk Yusa(三國遺事) Queen Jinseong Geotaji(眞聖女大王 居陁知) Writings are consisted of tale of Wanggeoin(王居仁) and tale of Geotaji(居陁知). Since there were a lot of fantasy aspects in both of the cases, the early research was mainly made in the Korean literature perspective, but it was also researched historically as complementary data for the social aspect of Queen Jinseong. However, because the previous researches viewed Wanggeoin and Geotaji each as high-class and low-class, it viewed this writing as the opposition against the Queen Jinseong realm. Especially for Geotaji, it was identified as the traditional Buddhist power contrary to the spoiled Buddhism, but it showed limitation in that Wanggeoin was viewed disorderly as a hiding person of ‘Daeyaju (大耶州)’ in Samguk sagi(三國史記) and Geotaji was viewed as ‘Yangpae(良貝)’s group’ representing the king’s realm. Therefore, the Wanggeoin tale is an opposition against the Queen Jinseong realm’s Buddhistic approach by the ‘Daeyaju’ people, and the Geotaji tale is about the punishment of the corrupted monk in order to justify the involvement of secular arm against the corruption in the Buddhism religion. On the other hand, it is estimated that the recording period of these two tales should be after the time of Queen Jinseong since it intends for the opposition against the queen’s realm. So the time for the Wanggeoin tale is after the invasion of HuBaekjae(後百濟), and the time for the Geotaji tale is during the restructuring of Buddhism of King Wanggeon(王建). With this, the reason for the inclusion of the two tales in Samguk Yusa is to show the continuation of Silla(新羅) Buddhism to Goryeo(高麗), and the restructuring of Goryeo Buddhism. Therefore, we must approach this writing with the time period of late Silla and early Goryeo, and with the view that i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m religion and the country.

목차

Ⅰ. 머리말
Ⅱ. 삼국유사 진성여대왕 거타지 조의 내용 분석
Ⅲ. 王居仁 및 居陁知 설화의 채록시기와 삼국유사
편제의도 1. 후백제의 大耶城 함락과 왕거인 설화
2. 고려초 왕실의 불교계 재편과 거타지 설화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선혜(Sin, Sun Hye). (2019).<삼국유사> 진성여대왕 거타지 조 해석의 새로운 시각. 불교연구, 51 , 203-223

MLA

신선혜(Sin, Sun Hye). "<삼국유사> 진성여대왕 거타지 조 해석의 새로운 시각." 불교연구, 51.(2019): 203-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