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제의 十八空論에 나타난 공성의 분류의 특징

이용수 161

영문명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Emptiness in Paramārtha’s Treatise on Eighteen Emptiness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안성두(Ahn, Sung Doo)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51輯, 77~10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대반야경 등의 대승불전에 나타난 다양한 공성의 분류가 가진 의미를 특히 진제의 十八空論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것이 다. 공성의 구별이란 주제는 해심밀경(SNS VIII.29) 등을 위시한 유식문헌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데, 여기서는 특히 MAVBh 및 MAVT의 해석과 비교해서 제시하면서, 진제 해석이 보여주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의 공성 해석의 특징은 내용적인 면에서 3성설의 용어로몇 가지 공성을 설명하려는 것이며, 이런 점에서 그는 유식학의 관점에서 각각의 공성 이해를 충실히 보여주었다고 말할 수 있다. 나아가 진제는 本性空을 불성 개념을 갖고 설명하려고 하는데, 이를 관련된 MAVT 에서의 안혜의 설명과 연관하여 볼 때 이런 해석은 당시 인도유식 내부의 흥미로운 사상사적 전개의 하나였다고 간주할 수 있다고 보인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my aim is to deal with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Emptiness in the works of Yogācāra Buddhism, particularly in Paramārtha (CE. 499-569)’s Treatise on Eighteen kinds of Emptiness (十八空論). Among the Yogācāra works, there are many texts, such as SNS (VIII.29-31) etc., which discuss the meaning of the Emptiness by giving different subdivision and categorization for this concept. In this occasion I like to mention particularly two texts, MAVBh and MAVT, respectively attributed to Vasubandhu and Sthiramati, because of their intimate relationship with Treatise on Eighteen kinds of Emptiness of Paramārtha. By comparing the explanations given in these two texts with Paramārtha,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his interpretation can be extracted on a solid basis. I like to summarize two important points of Paramārtha’s discussion of the Emptiness as follows: (1) In his interpretation of some subdivision of the Emptiness, he use the words of Three Nature (trisvabhāva), and in this sense he demonstrate himself to be the true follower of traditional Yogācāra. (2) His interpretation deviates from the so-called orthodox Yogācāra in case of the ‘Emptiness of its own Nature (svabhāva-śūnyatā, 性空)’. He wants to stress on the more positive aspect of that concept, and interprets it as ‘Buddha Nature (buddhadhātu, 佛性)’. In this context, it is highly interesting to see the parallel passage of MAVT 55,19-56,6, which mentions another interpretation that the tathāgatagarbha idea is meant for that Emptiness. This shows clearly that in Paramārtha’s period some Indian Yogācāras must have felt the necessity to subsume the tathāgatagarbha idea under the traditional Yogācāra concept of the Suchness (tathatā).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十八空論에 나타난 18종 공성
Ⅲ. 十八空論의 본성공의 해석에 나타난 특징
Ⅳ.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성두(Ahn, Sung Doo). (2019).진제의 十八空論에 나타난 공성의 분류의 특징. 불교연구, 51 , 77-107

MLA

안성두(Ahn, Sung Doo). "진제의 十八空論에 나타난 공성의 분류의 특징." 불교연구, 51.(2019): 77-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